earticle

논문검색

미디어 생태학 관점에서의 초등 사회과 수업 연구

원문정보

The Study on the Application of Media Ecology Theory in Elementary School Social Studies Class

문현진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aims to assess the media’s influence on social studies class. In terms of elementary school social studies curriculum and achievement standards, there seems only a few subjects directly linked to media literacy while media gets become more and more influential in actual social studies class as a sine qua non, contributing those social classroom curriculum, achievement standards, textbook and the class itself. To investigate this phenomenon, through research on elementary school teachers regarding medias in social studies classroom had been conducted: and, based on the research, it was translated upon the actor-network theory (ANT). As a result, it becomes clear that two kinds of media are currently the most powerful media in social studies classroom; and other digital medias gets through enforcement, decline, reincarnation, and reversion as well. Then, ANT based analysis helps to figure out that there is an attempt to make a balance between social studies and media while media has strong tendency to change steps and components in classroom. To make these as sound and harmonized, it shall be a symbiotic relationship with caution against allowing actor with long agency in social studies classroom surmounted by media, self-awareness of social studies classroom’s strong identity itself, and reminding humanism in society as social studies classroom purpose itself.

한국어

이 연구의 목적은 인간과 미디어의 상호관계를 밝히고자 하는 미디어 생태학의 관점에서, 미디어가 사 회과 수업에 어떤 영향력을 미치고 있는지 살펴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미디어 생태학의 개념과 초등 사회과 교육과정에 나타난 미디어의 위상을 살펴본 뒤, 미디어가 실제 사회과 수업에서 어떻게 작동되는지를 행위자- 네트워크 이론에 터해 살펴보았다. 초등 사회과 교육과정과 성취기준 상에서 구체적으로 나타나는 미디어 리 터러시 관련 학습 내용은 많지 않다. 그러나 실제 사회과 교실에서 미디어는 필수불가결한 요소가 되어 시간이 갈수록 미디어 환경과 미디어 리터러시를 전제한 사회과교육과정, 성취기준, 교과서 그리고 수업을 구성하 도록 강력한 힘을 발휘하고 있다. 이를 실증적으로 검증하고자 실시한 ‘사회과 수업에서의 미디어 활용 조사’ 결과, 사회과 수업에서 강력한 행위자로 작용하는 미디어는 인OOO과 OOOO림이며, 그밖에 많은 디지털 미 디어들이 강화, 쇠퇴, 부활, 역전의 과정을 겪으며 존재하였다. 즉, 현재 사회과 수업과 미디어 사이에는 균형을 잡기 위한 시도들도 있지만, 주요 미디어에 의해 수업의 모습이 바뀌는 등, 미디어 자체가 강한 편향성을 가지 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미디어 편향성이 나타나는 사회과 수업에서 균형을 지향하기 위한 미디어 생태학적 해법은 미디어의 벽에 둘러싸인 사회과 수업이 하나의 미디어에 독점하지 않도록 경계 하고, 교실 주체들에 의 한 자기 생성적 미디어 생산과 순환 구조가 형성되어야 한다. 또한 무엇보다 사회과 교육의 목적이 사회에서 잘 살아가는 시민을 기르는 휴머니즘에 있음을 지속적으로 상기시켜 수업과 미디어의 편향되지 않는 공생관 계를 구축해야 할 것이다.

목차

요약
Abstract
I. 서론
II. 미디어 생태학의 개념과 명제
1. 미디어 생태학의 개념
2. 미디어 생태학의 이론적 명제
3. 포스트만의 미디어 생태학과 교육
III. 초등 사회과 교육에 나타난 미디어
1. 초등 사회과 교육과정에서 미디어의 위상
2. 사회과 성취기준과 수업에서 나타난 미디어
IV. 미디어 생태학의 관점에서 본 초등 사회과 수업
1. 문제제기 : 미디어 간의 자동조절장치는 작동하는가?
2. 관심끌기 : 어떤 미디어가 강력하게 작동하는가?
3. 등록하기 : 미디어 편향성과 거대 네트워크의 형성
4. 동원하기 : 환경으로서 미디어가 사회과 교육에 가져온 변화
5. 안정된 미디어 행위자-네트워크의 특징
V. 결론
참고문헌

저자정보

  • 문현진 Moon Hyun Jin. 울산 구영초등학교 교사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