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영유아 무용교육의 연구동향 및 과제 탐색

원문정보

Exploring the Trends and Challenges of Infant Dance Education Using Keyword Network Analysis

홍애령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Since the announcement of the comprehensive plan for arts and culture education in 2018, the importance of life-cycle arts and culture education has been emphasized. However, the main targets of the plan are children and adolescents. arts and culture education, especially for infants and young children, lies in poor condition in terms of both demand and statu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role of dance in promoting arts and culture education by examining trends in dance education research for infants and children. Based on the analysis of 115 effective keywords and by reviewing 228 dissertations, 101 academic journals, and 329 total effective papers published from 1979 to 2019, they were divided into four sections. Overall, the 'Program' showed the highest connectivity in terms of degree centrality (26) and betweenness centrality (743.038). Since then, creativity, ballet, teacher, and kindergarten have emerged as the top five keywords, while closeness centrality puts it within the top 10 ranked education institutions (631). The results show that the best educational institutions for infants and young children are kindergartens; the teaching contents mainly involve ballet, creative dance, play, physical expression, and movement education; and the educational purpose is mainly focused on developing creativity. Based on these results, strategies for systematizing and upgrading dance education programs for infants and children are presented and measures for implementing them are discussed.

한국어

2018년 문화예술교육 종합계획 발표 이후, 생애주기 문화예술교육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그러나 교육현장의 주된 학습대상은 아동, 청소년에 집중되어 있으며 특히 영유아를 위한 문화예술교육은 그 수요나 현황에 있어 미약한 실정에 놓여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영유아를 대상으로 한 무용교육연구의 동향을 살펴봄으로써 문화예술교육으로서 무용의 역할과 과제를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1979년부터 2019년까지 발표된 학위논문 228편과 학술지논문 101편, 총 유효 논문 329편을 검토하여 115개의 유효 핵심어를 분석한 결과, 4개의 구간으로 구분되었다. 영유아 무용교육연구의 제1구간(1979년~1989년)은 ‘유치원의 민속무용 지도중심’ 시기, 제2구간(1990-1999)은 ‘창의성을 위한 창작무용 중심’ 시기, 제3구간(2000-2009년)은 ‘교사와 움직임교육 중심’ 시기, 제4구간(2010-2019년)은 ‘프로그램 실천 중심’ 시기로 구분되었다. 종합적으로 ‘프로그램’이 연결중심성(26), 매개중심성(743.038)에서 가장 높은 연결성을 보였다. 이후로 ‘창의성’, ‘발레’, ‘교사’, ‘유치원’ 이 상위 5위권 내 핵심어로 나타났으며 10위권 내에서 근접중심성은 교육기관(631)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영유아교육의 현장에서 교육기관으로서는 유치원, 가르치는 교육내용으로서는 발레, 창작무용, 놀이, 신체표현, 움직임교육 등이 주를 이루고 있으며 교육목적은 주로 창의성 발달에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를 바탕으로 영유아 및 어린이를 대상으로 하는 무용교육 프로그램의 체계화와 고도화를 위한 전략을 제시하고 이를 실천할 수 있는 방안을 논의하였다.

목차

I.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영유아 무용교육연구의 시기별 연구동향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국문초록
Abstract

저자정보

  • 홍애령 Hong, Ae-Ryung. 상명대학교 글로벌문화예술교육연구소 전임연구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5,4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