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설득 화법에 대한 국어교육 전문가 인식 분석

원문정보

A Study on the Analysis of the Awareness of Korean Education Experts for Persuasive Communication

김윤정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Based on a survey of experts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this paper aims to identify demands on the contents and methods of persuasive discourse and present directions of education. Korean language education experts have developed the ability to seamlessly communicate with others and to accept problems in the process of coordinating conflicts through persuasive training. In order to advance this, persuasive discourse education should be based on truth, balance, conventionalism and efficiency in terms of persuasion message, change of listener attitude, and social interaction. In addition, in basic education, advanced education should be phased and the ability of the community to be exercised in the community to improve individual skills.

한국어

본고에서는 국어교육 전문가들의 인식 조사를 바탕으로 설득 화법 교육 내용과 방법에 대한 요구를 파악하고 교육의 방향성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국어교육 전문가들은 설득의 본질에 기반한 설득 화법 교육을 통해 타인과 원활하게 소통하며 갈등을 조정하는 과정에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능력을 길러 공동체의 문제에 관심을 가지고 참여하면서 사회 구성원의 생각을 유연하게 수용할 수 있는 현실에 적용 가능한 역량을 설득 의사소통 역량으로 인식했다. 이를 신장시키기 위해서 설득 화법 교육은 설득 메시지, 청자의 태도 변화, 사회적 상호작용의 측면에서 실제성, 균형성, 설득 화법 본질성, 효율성을 바탕으로 실행되어야 한다. 또한 기초적인 교육에서 심화 교육이 단계적으로 이루어져야 하며 개인의 능력을 향상시켜줄 수 있는 교육에서 사회 공동체에서 발휘될 수 있는 공동체 역량을 키워줄 수 있는 확산적인 교육이 이루어져야 한다.

목차

국문초록
Ⅰ. 서론
Ⅱ. 설득 화법에 대한 관점과 설득의 구성 요소
1. 설득 화법에 대한 관점
2. 설득의 구성 요소
Ⅲ. 연구 방법
1. 전문가 인식 조사
2. 전문가 인식 조사 내용 및 분석 방법
Ⅳ. 연구 결과
1. 설득(적) 의사소통 역량에 관한 인식
2. 설득 화법 교육 내용의 중요도
3. 설득 화법 교육 내용의 중요도에 대한 요인 분석
4. 설득 화법 교수·학습 방법에 대한 중요도
5. 설득 화법 교육의 문제점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저자정보

  • 김윤정 Yunejung, Kim. 이화여자대학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1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