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북극권 진출을 위한 해양공간 인문지리 : 동해-오호츠크 해-베링 해

원문정보

Human Geography of Marine Space for the Advancement of the Arctic Circle : the East Sea, the Sea of Okhotsk and the Bering Sea.

김정훈, 한종만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As the accessibility of the Arctic Circle is increasing, researches on the Arctic Circle are very actively being carried out at home and abroad. However, these studies are mostly conducted in the individual areas of political, economic and scientific domains, so it is necessary to analyze values at a comprehensive level as a space where geopolitical, geographical and geocultural problems work in combination. To realize this end, the following three things need to be considered. First, the research area is a place where the interests in resource development and northern route management that will determine the future of the Korean peninsula in the 21st century as well as the Artic neighbors are concentrated. Second, the linkage of the research area requires systematic research, that is, each research topic is closely linked by the future development strategy (blueprint) of the relevant countries. Third, all research topics are integrated studies that are investigated in combination by closely linked geopolitical, geopolitical and geocultural approaches. In particular, since the study of the Ohotsk Sea and the Coast of Bering Sea, which are the gateways to the Arctic, is a necessary space for approaching the Arctic, the future growth engine of the Republic of Korea, it is necessary to prepare for the growth in advance. Therefore, the study aims to explore the comprehensive value and analysis contents & methods of the Artic from the views of humanities and geographical approach to the research space.

한국어

본 연구공간(동해-오호츠크해-베링해)은 한국사회에 에너지·자원 확보/수입원/공급처의 다변화, 물류유통, 해양세력과 대륙세력으로의 확장, 생활공간의 확대, 해외 식량 기지의 확보(수산업 등), 환경과 생태에 대한 글로벌 이슈의 충족, 녹색성장의 토대, 남북한 통합 촉진과 북한경제 발전의 연착륙유도 등을 제공할 수 있는 미래 한국사회의 ‘기회의 공간’으로 작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를 통해 국제사회와 우리의 기대에 부합하는 미래의 한국사회를 건설하기 위한 선도적 준비로써 해당지역의 지정, 지경 지문화적 의미와 연구필요성 등을 제기해보고자 한다. 북극권의 접근성이 높아가고 있는 상황에서 북극권에 대한 연구는 국내외적으로 매우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는 상황이다. 그러나 이들 연구는 대부분 정치적, 경제 및 과학적 입장의 개별적 영역에서 진행되고 있어 지정, 지경 및 지문화적 문제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는 공간으로서 종합적 차원에서의 가치와 분석 등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이를 실현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세 가지 사항이 먼저 고려될 필요성이 있다. 첫째, 연구공간은 21세기 한반도뿐 아니라 해당국들의 미래를 결정할 자원개발과 북방항로 운용의 이해관계가 집중된 곳; 둘째, 연구대상지역의 연계는 시스템적 연구(Systemic Approaches)를 요구, 즉 각 연구 주제는 관련국의 미래 발전 전략(청사진)에 의해 상호 긴밀하게 연계; 셋째, 모든 연구 주제는 긴밀하게 연계된 지정학적, 지경학적, 지문화적 접근법들에 의해 복합적으로 연구되는 통합연구(Integrated Studies). 특히, 우리의 입장에서 북극을 향하는 관문인 오호츠크 해 및 베링 해 연안 지역연구는 향후 대한민국의 미래성장 동력 지역인 북극에 접근하는데 있어 반드시 필요한 공간으로 이에 대한 선도적인 준비가 필요하다고 판단되기에 본 연구를 통해, 연구공간에 대한 인문·지리학적 접근에서 지역의 종합적 가치와 분석 내용과 방법 등을 모색하고자 한다.

목차

<국문요약>
Ⅰ. 서론
Ⅱ. 지역의 가치 및 연구경향 분석
Ⅲ. 연구분석 방법 및 내용
Ⅳ. 결론
<참고문헌>

저자정보

  • 김정훈 Kim, Joung Hun. 배재대학교 러시아 · 중앙아시아학과 교수
  • 한종만 Han, Jong Man. 배재대학교 러시아 · 중앙아시아학과 명예교수, 북극학회 회장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