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한류의 현주소와 한류 상품 수출 방안 연구 : CIS 국가에서 ‘MD’ 수출 중심으로

원문정보

A Study on the Current State of the Korean Wave and Methods of Exporting Korean Wave Products - Focusing on ‘MD’ Exports in the Commonwealth of Independent States -

양정훈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Korean Wave (Hallyu) is one of the most representative cultural phenomena that have occurred since the spread of the Internet around the world. The impact and speed of a new culture that arose simultaneously with the spread of smartphones were strong and high respectively, compared with the existing culture. This environment was created when the Korean Wave emerged popularly. War, the Olympics, the World Cup, etc. - each of all these things is an event planned or intended by someone, but the Korean Wave was not. The Korean Wave culture created amid the changing times has naturally won the hearts of people around the world. It has enhanced the likeability of Korea as perceived by global people in the international community. The positive response rate indicating that Korea is an ‘economically advanced country’, an ‘IT powerhouse’, or a ‘likeable country’ has come to account for about 60% of the total responses. These phenomena are the results of the expansion of the influence of ‘K-Pop’ being regarded as the most important among the various kinds of contents representing Korea. The Korean Wave was already evaluated as successful enough to be classified as being in the ‘mature’ or ‘growing’ stage in Commonwealth of Independent States (CIS) in 2011 although such evaluation may vary slightly according to the country. It is also very encouraging to see that Korean contents which may be somewhat unfamiliar to them due to their different religion, customs and values are being accepted without much disapproval. The effect of the spread of the Korean Wave has been found to be much higher than its usual effect thanks to its ripple effect on the national economic growth and Korean people’s social and cultural pride. Even its value-added synergy effects have been created due to the butterfly effect during its movement through different media channels and mass communications. The effect of the Korean Wave which began in movies and dramas has spread, thus resulting in the rapid growth of demand for other various kinds of contents, such as K-Pop, fashion, beauty, medical service, learning the Korean language, studying in Korea, and traveling to Korea. In order to continue this stream in such a way as secure greater competitiveness, it is necessary to induce the development of new Korean Wave contents. In other words, it is desired that the Korean Wave should be made to settle as a new breakthrough for economic growth through harmonious linkage of three elements – active participation and investment by the entertainment companies which have contributed to the emergence of the Korean Wave and the government-level diplomatic responses. In addition, it is hoped that the Korean Wave will enhance Korea’s political reliability with many other countries in the world, thereby enhancing the competitiveness of not only the Korean Wave contents but also all the other Korean-made products and serving as a great strength for the Korea’s future economy and industry as well.

한국어

한류는 인터넷이 전 세계에 보급된 이후 발생한 가장 대표적인 문화 현상 중 하나이며, 스마트폰 보급으로 동시에 진행 되는 새로운 문화로 파급력과 속도는 기존 문화에 비해 강하고 빨랐다. 한류가 확산될 때 이러한 환경이 조성된 것이다. 전쟁, 올림픽, 월드컵 등 이 모든 것은 누군가에 의해 기획되거나 의도된 사건이지만 한류는 그렇지가 않았다. 시대의 변화 속에 만들어진 한류 문화는 자연스럽게 세계인들의 마음을 얻게 되었다. 국제사회 세계인들에게 한국의 인식을 호감도로 높여 놓았다. 한국하면 ‘경제적으로 선진국’, ‘IT 강대국’, ‘호감이 가는 국가’라는 긍정적 응답률이 약 60% 차지하게 되었다. 이러한 현상은 한국을 대표하는 여러 콘텐츠 중 ‘K-Pop’의 영향력 확대가 가장 중요시됨으로 이루어진 결과이다. CIS국가에서도 한류에 대한 국가별 편차는 있지만 이미 2011년에 ‘성숙’, ‘성장’단계로 분류 될 정도로 성공적인 평가가 나왔다. 종교, 관습, 가치관 등의 차이로 인해 다소 생소 할 수 있는 한국의 콘텐츠가 큰 거부감 없이 수용되고 있다는 것만 봐도 매우 고무적이다. 한류 확산은 국가 경제성장과 국민들의 사회문화 자긍심에 미치는 파급 효과로 일상적인 효과보다 매우 높게 나타났다. 서로 다른 미디어 채널과 매스컴을 통해 이동하면서 나비효과에 의한 부가가치 상승효과(synergy effect)까지 창출되었다. 영화와 드라마에서 시작된 효과가 K-Pop, 패션, 뷰티, 의료서비스, 한국어, 한국 유학, 한국 여행 등 여러 콘텐츠로 수요가 빠르게 성장한 것이다. 이러한 흐름을 더 높은 경쟁력 확보로 이어가기 위해서는 한류의 새로운 콘텐츠 개발로 이끌어내야 한다. 다시말해 한류를 일으킨 엔터테이먼트사의 적극적인 참여와 투자 그리고 정부차원의 외교적 대응 3박자가 조화롭게 연결 되어 경제성장의 새로운 돌파구로 정착 시켰으면 하는 것이다. 더불어 세계 여러 국가와의 정치적 신뢰를 높여 한류 콘텐츠뿐만 아니라 한국 전상품의 경쟁력으로 향상되고, 한국 미래경제산업에도 큰 힘이 되었으면 한다.

목차

<국문요약>
Ⅰ. 들어가면서
Ⅱ. CIS국가에서 한류 콘텐츠의 현주소
Ⅲ. CIS 국가에서 한류 상품 시장
Ⅳ. 한류 상품 MD의 SWOT 분석과 개발
Ⅴ. 한류 상품의 시대적 홍보 및 판매 전략
Ⅵ. 나가면서: 시사점과 향후 과제
〈참고문헌〉

저자정보

  • 양정훈 Yang, Jung Hun. 수원대학교 러시아어문학과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