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Religious Education as a Personality Education

원문정보

김영주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ersonality Education Promotion Act, which went into effect on July 21, 2015, states that its purpose is “to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national society by fostering people with sound and proper personality. In addition, Item 1 Article 2 of the Act defines personality education as "education aimed at cultivating the human nature in the righteous and sound way, and developing ones’ personality and ability necessary to live with other people, communities, and nature." The fact that personality education, which was considered to be the responsibility of individuals and families, has been institutionalized as a law at a national level, underscored the sense of the problem that society should consider personality education in full measurement. In this context, the social role of religion should also be contemplated. In this regard, it would be meaningful to have the enactment of the Personality Education Promotion Act as an opportunity to look at the direction of personality education pursued by the society and see how it is related to personality educations that are sought and performed by religious communities. In this context, this paper focuses on the possibility of religious education as a personality education. The relationship between personality education and religious education reflects the universality and speciality issues that religious education has struggled with. In other words, the question is how to find a balance between educational universality and religious speciality. In that sense, personality education in all religions should have an educational program to teach the universal truth of religion and cultivate an ideal human being.

한국어

2015년 7월 21일 발효된 ‘인성교육진흥법’은 그 제정 목적을 “건전하고 올바른 인성(人性)을 갖춘 국민을 육성하여 국가사회의 발전에 이바지함”이라고 밝히고 있다. 또한 동법 2조 1항에서는 “자신의 내면을 바르고 건전하게 가꾸어 타인·공동체·자연과 더불어 살아가는 데 필요한 인간다운 성품과 역량을 기르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교육”으로 인성교육을 정의하고 있다. 개인과 가정의 책임으로 여겨졌던 인성교육이 국가적인 차원에서 법으로 제도화되었다는 사실은 한국사회가 인성교육과 관련한 문제의식들이 전면적으로 부각되었음을 의미하는 것이다. 이런 관점에서 종교의 사회적 역할 또한 고민되어야 할 부분임에 틀림없다. 이렇게 본다면 ‘인성교육진흥법’제정을 계기로 종교계가 지향하는 인성교육의 방향과 우리 사회가 추구하는 인성교육의 방향이 어떠한 관련성을 갖는지 살펴보는 것도 의미 있는 일이 될 것이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 논문은 인성교육으로서 종교교육의 가능성에 주목하고자 하였다. 인성교육과 종교교육의 관계는 오랜 시간 종교교육에서 논의되었던 보편성과 특수성의 관계의 또 다른 표현이다. 교육이 지니는 보편성과 종교라는 특수성을 어떻게 잘 융합할 것인가의 논의와 연결되기 때문이다. 모든 종교의 인성교육이 종교의 보편적 진리와 이상적 인간을 형성하기 위한 교육 프로그램이 되어야만 하는 당위성이 여기에 있다 할 것이다.

목차

요약문
1. Foreword
2. The Personality Education Promotion Act and Religious Education
3. Ideological Background of Personality Education in Daesoon Jinrihoe
4. Personality Education of Daesoon Jinrihoe and Its Practice
5. Conclusion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김영주 Yeong Joo, Kim. 대진대학교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