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天台敎團의 日常儀禮와 儀式修法 연구

원문정보

A Study on the Buddhist Daily Ritual and the Ceremonial Practice(儀式修法) of the Tiantai Sect

천태교단의 일상의례와 의식수법 연구

이기운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most important factors in maintaining and transmitting the Sect would be the daily ceremonies and meditations of the Sect. As in Guoqingbailu(國淸百錄), six and four sitting meditations were performed thoroughly as the Tiantai Sect’s ceremonies and meditations. Six Buddhist chants included deferential greetings(敬禮) and universal obeisance(普禮), while sitting meditations included samatha and vipassana(zhiguan) as suggested in Cidi Chanmen(次第禪門) and Mohe_Zhiguan(摩訶止觀). The Tiantai Sect was largely influenced by ceremonial repentance and tao(行道法), which were popular during the Northern and Southern dynasties. This ceremonial practice(儀式修法) was combined with other methods of practice, such as Buddhist protocols including veneration and repentant incantation(呪法), and it was ritualized primarily for benefits in the current world such as curing disease(治病) or mitigating disasters(除災). Qing Avalokiteshvara Sutra, Suvarṇaprabhāsa Sutra, and Vaipulya Sutra in Guoqingbailu include not only traditional chants, ceremonial repentance, and incantation but also rituals added with sutra reading and practical contemplation. These ritual characteristics of the Tiantai Sect are well described in four modes of meditation in Mohe Zhiguan and the excerpt book the Confessional Samadhi of the Lotus Sutra(法華三昧懺儀). These rituals by the Tiantai Sect were combined with veneration and practice, Buddhist rituals’ two original purposes, greatly helped Buddhist practitioners to learn a complicated practice of zen(zhiguan) as a routine ritual, and had a tremendous effect on the way Tiantai patriarchs practiced Buddhism in the following years.

한국어

교단을 유지하고 전승하는데 있어서, 매우 중요한 요소가 교단의 일상의례와 수행이라고 할 수 있다. 천태교단의 의례와 수행은 『國淸百錄』에 보이듯이 여섯 때의 예불과 네 차례의 좌선을 철저히 닦도록 하였다. 의례는 여섯 때의 禮佛儀式으로 敬禮法과 普禮法 등이 있었고, 坐禪修行으로는 『釋禪波羅蜜次第法門門』, 『摩訶止觀』 등에 보이는 止觀修行을 닦았다고 할 수 있다. 불교의례는 禮敬과 修行이라는 두 가지 목적을 지향하며, 기본적으로 신업의 禮拜, 구업의 讚頌, 의업의 觀相으로 구성되어 여러 의식이 이루어진다. 예경의 대상인 불·법·승 삼보에 대한 三歸依로부터 시작하여 三業供養까지를 의례의 주요한 내용으로 삼고 있는 것이다. 천태교단은 당시 남북조시대 유행한 불교의 禮懺法 行道法 등이 흘러들어와 많은 영향을 주었다. 이러한 儀式修法은 禮敬 등의 불교의례와 懺悔 呪法 등의 수행법이 결합하여 주로 治病 除災 등의 현세이익을 목적으로 의례화 하였다. 『국청백록』에 들어 있는 『請觀世音懺法』, 『金光明經懺法』, 『方等懺法』에는 기존의 禮佛·禮懺·呪誦 뿐만 아니라, 讀經·實相正觀이 가미된 修法行儀로 되어있다. 천태의 이러한 의식수법의 특징은 『摩訶止觀』의 사종삼매와 별행집 『法華三昧懺儀』 등에 잘 나타나 있다. 천태의 이러한 의식수법은 불교의례의 본래 목적인 예경과 수행법을 결합하여, 수행자들로 하여금 난해한 止觀 修行法을 일상적인 儀禮法으로 효과적으로 익히는데 큰 도움이 되고 있으며, 후대 천태조사들의 修行法에 큰 영향을 주었다.

목차

요약문
1. 天台敎團 불교의례 형성의 몇 가지 문제
2. 중국 불교의례의 형성과 전개
3. 천태교단의 불교의례 형성과 전개
4. 결어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이기운 Ki Woon, Lee. 동국대학교 불교학술원 조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