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문화 치료로서의 사이코드라마 - J. L. 모레노의 문화론과 문화 치료의 이해 -

원문정보

Psychodrama as a Cultural Psychotherapy - Understanding of J. L. Moreno’s Culture Theory and Cultural Psychotherapy -

손창선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paper aims to expound J. L. Moreno’s psychodrama as the cultural psychotherapy and to secure cultural therapeutic areas by informing its significance in the history of psychotherapy. It mainly takes a way to introduce concepts that help us understand psychodrama as cultural therapy through the study of Moreno's literature. Before Moreno, psychotherapy had treated individual inner psyche, and had approached this invisible psyche with a ‘language’ and treated it with the construct of ‘self’. Moreno has found that there is not only the inner psyche but also an area of ‘inter-psyche’, based on the view of ‘spontaneous human’. Inter-psyche can be visualized as ‘tele relation’ that represents preferences between the parties, and can be treated through ‘role relation’ that indicates what they actually act to each other. He diagnosed pathology as ‘social pathology’ or ‘cultural pathology’ in that pathology appears as a cultural factor among the parties, and devised a ‘psychodrama’ that introduced the parties and their role in psychotherapy. In other words, psychodrama is a ‘cultural psychotherapy’ for treating social or cultural pathology using the tele relations of the parties as a guide, analyzing their role relations, and consisting of spontaneity training for more appropriate role acting. Cultural pathology and cultural therapy may be applied to two people, a larger community, and even the entire human race, depending on the size of the parties concerned, which implies the significance that psychotherapy is possible for the entire human race. The significance of this paper is to find the ways to move from a pathological society to a therapeutic one by securing a sphere of cultural therapy.

한국어

이 논문은 J. L. 모레노의 사이코드라마를 문화 치료로 알리고, 그 정신치료사적 의의를 되살려 문화 치료의 영역을 확보하려는 데에 목적이 있다. 이전까지 정신치료는 정신병리를 다룰 때 신체의 병리처럼 ‘개인’ 중심으로 접근하고, 개인 ‘내면’의 본능적 공격성이나 억압된 욕구에 초점을 두면서, 보이지 않는 이 내면의 심리에 ‘언어’로 접근하여 ‘자아’라는 구성개념을 중심으로 치료했다. 모레노는 내면만이 아니라 외부 상황에도 주목하여 상황에 적절히 반응함으로써 생존하는 ‘자발적 인간’이라는 인간관을 바탕으로, 내면의 정신만이 아닌 ‘사이 정신’ 또는 ‘상호 정신’의 영역이 있음을 발견했다. 상호 정신은 밀접한 관계의 당사자 간 선호를 나타내는 ‘텔레 관계’로 시각화할 수 있고, 그들이 서로에게 실제로 하는 행위를 나타내는 ‘역할 관계’를 통해 구체적으로 다룰 수 있다. 모레노는 상호 정신 영역에서 당사자 사이에서 문화 요소인 역할 관계로 나타나는 병리를 ‘사회 병리’ 또는 ‘문화 병리’로 진단했고, 이 병리를 치료하기 위해 정신치료에 당사자와 그들의 역할을 도입한 ‘사이코드라마’를 고안했다. 다시 말해, 사이코드라마 자체가 문화 병리를 치료하는 ‘문화 치료’로 고안된 것으로, 당사자의 텔레 관계를 지침으로, 그들의 역할 관계를 분석하고, 더 적절한 역할을 훈련시키는 자발성 훈련으로 이루어진다. 문화 치료의 대상은 당사자의 범위에 따라 두 사람, 특정 소집단, 더 큰 공동체, 나아가 인류 전체가 될 수도 있으며, 이는 인류 전체를 대상으로 하는 정신치료가 실제로 가능하다는 정신치료사적 의의를 함축한다. 사회 전체가 점점 더 병리화되는 오늘날, 병리적인 사회에서 치료적인 사회로 가는 지름길은 사회 병리 또는 문화 병리를 치료하는 문화 치료로서의 사이코드라마의 영역을 확보하는 일일 것이다.

목차

요약문
1. 서론
2. 본론
3.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손창선 Chang Sun, Son. 심리연구소 ‘차이와 너머’ 소장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