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후설에서 인격적 자아의 습득성 - 아리스토텔레스 그리고 칸트와 관련하여 -

원문정보

Habitus of Personal I in Husserl - In View of Aristoteles and Kant -

조관성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In this paper I intend to elucidate the concept of habitus (Habitualität in German, habituality in English) that can be said to be regarded by Husserl not as one of the important thematic concepts but as a meaningful operative concept above all by drawing on some living examples expressed not in Husserl’s jargons but in terms of ordinary language. By setting forth the twofold existing modes of habitualities that express themselves not only in the individual life forms or life styles (Lebensstil des Individuums) but also in the social life forms or life styles (Lebensstil der Gemeinschaft) I attempt to bring out the social and historical character of personal I as the concrete unity of mind and body and as the growing and maturing carrier of various habitualities especially in view of the phenomenological value theory and ethics that Husserl has in mind, and that I have been striving to systematize. Even though Husserl does not make a sufficiently explicit and fully abundant moral norm-oriented phenomenological analysis and description of habituality of personal I, his phenomenological matter-oriented genetic analysis and description of habituality can be judged to have multi-faceted potential implications for virtue-based moral philosophy and ethics as well as for education in general and for moral education in particular. In this article I put emphasis on the following theses: ① Aristoteles, Kant and Husserl move in their philosophical thematization of habituality in the interface between weak innatism and weak empiricism making the so called Nature-Nurture Controversy meaningless, and they do not go into dealing with the problem of habituality beyond their philosophy-grounded perspective. ② Both their philosophical treatment of habituality and Husserl’s genesis-oriented thematization of habituality are to be made more fruitful, persuasive and convincing by making use of such empirical sciences as biology, neurosciences, psychology, sociology, political science, cultural anthropology etc.

한국어

타고난 것과 학습한 것 사이의 철학적 대립 논쟁에 주시하여 이해하고자 할 때, 경험적 습득성을 주제화하는 후설의 현상학적 철학함은 약한 선험주의와 약한 경험주의의 종합 모형 안에서 움직인다. 후설이 명시적 문맥이나 함축적 문맥 안에서 기술하는 경험적 습득성은, 그 안에 도덕 철학적 의미와 도덕 교육적 함의 그리고 덕 윤리학의 윤곽을 품고 있다. 현재 논문은 후설이 내세우는 현상학적 습득성 이론에서 인격적 자아의 현상학과 자아 이론의 국면을 그리고 자아의 시간성과 역사성과 사회성의 국면을 드러내고자 하며, 그의 현상학적 습득성 이론이 자아에 관계하는 기체 모형과 다발 모형 사이의 철학적 대조 논쟁 속에서 이 논쟁을 해소할 수 있는 담지자 모형을 따르고 있음을 부각한다. 글쓴이는 (후설이 안중에 두고 기술하는) 경험적 습득성이 의미하는 풍부한 내용을 후설의 전문 언어에 의탁하기에 앞서서 대한민국의 일상적 삶의 세계에서 체험한 살아있는 구체적 예들을 통하여 해명하고 설명한다. 현재 논구는 특히 아리스토텔레스와 칸트 그리고 코메니우스를 도입하여 후설의 현상학적 습득성 이론이 철학사 안에서 가지는 긍정적 위치와 함의뿐만 아니라 그것의 불충분성과 한계를 그리고 활성화 가능성을 찾고자 시도 한다.

목차

요약문
1. 서론
2. 본문
3.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조관성 Kwan Sung, Cho. 경인교육대학교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