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초록
영어
In this article, I briefly examined the current situation of Jeolla Province of the first half of the Joseon Dynasty in various aspects, including politics, economy, society, and culture. The result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re are not many studies on Jeolla of the first half of the Joseon Dynasty, compared to other periods. Rather, there are more studies covering all periods of the Joseon Dynasty. Because of this, there is a limit that the characteristics of Jeolla Province in the first half of Joseon cannot be properly understood.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expand the research on Jeolla Province at this time while balancing with other times. Second, even in the same Jeolla Province, the variation was very large depending on where the study area was. In particular, studies on Hyanggyo, Seowon, local system, Sugunjin, and literature were mainly conducted on Jeollanam-do, while very few studies were conducted on Jeollabuk-do. Therefore, it is possible to completely restore the history of Jeolla Province only by reducing the deviation between these study areas. Third, looking into the contents of the previous research papers, rather than analyzing Jeolla as the main research object, there were many cases describing the history of Jeolla as a part of national history. For this reason, the status and role of Jeolla Province in the development of Korean history tends to be difficult to grasp.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conduct research on Jeolla Province in the first half of the Joseon Dynasty from the perspective of local history, not national history, and from the local rather than central one. In addition, researchers need to think more deeply about how to balance the universality of Korean history with the specificity of Jeolla.
한국어
이 글은 조선전기 전라도 지방에 대한 연구현황을 정치와 경제, 사회와 문화로 정리한 것이다. 이를 토대로 조선전기 전라도 역사에 대한 연구의 특징과 앞으로의 연구 방향을 제시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조선전기 전라도에 대한 연구는 다른 시기에 비해서 그리 많지 않았으며, 조선시대 전시기를 대상으로 한 경우가 많았다. 이 때문에 조선전기 전라도의 특성을 제대로 파악할 수 없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다른 시대와 균형을 맞추면서 조선전기 전라도에 대한 연구를 확대할 필요성이 있다. 둘째, 같은 전라도 지역이지만 연구대상 지역에 대한 지역적 편차가 매우 컸다. 특히 향교와 서원, 지방제도와 수군진, 문학 등의 연구는 주로 전남지역을 대상으로 이루어졌으며, 전북지방을 대상으로 한 연구는 매우 적었다. 따라서 이러한 연구대상 지역의 편차를 줄여야만 온전한 전라도의 역사를 복원할 수 있을 것이다. 셋째, 연구의 내용이 전라도가 중심이라기보다는 국가사 속에서 일부분을 할애하여 서술한 경우가 매우 많았다. 이 때문에 한국사의 전개과정 속에서 전라도지역이 차지하는 위상과 역할을 제대로 파악할 수 없다. 따라서 국가사 아닌 지방사의 관점에서, 중앙이 아닌 지방의 관점에서 조선전기 전라도에 대한 연구를 진행할 필요성이 있다. 이와 더불어서 한국사의 보편성과 전라도의 특수성을 어떻게 조화시켜야 할지에 대해서도 고민해야 한다.
목차
Ⅱ. 전라도의 정치와 경제
Ⅲ. 전라도의 사회와 문화
Ⅳ. 맺음말
<국문초록>
<참고 문헌>
저자정보
참고문헌
- 1이해준, 『전남지방사』(호남문화사, 1990).
- 2이희권, 『정여립이여, 그대 정말 모반자였나!』(신아출판사, 2006).
- 3전라북도·전북향토문화연구회, 『全羅監司』 상·중·하(2006~2008).
- 4문문고봉연구회 편, 『고봉 기대승, 배움과 가르침의 흔적들』(경인문화사, 2015).
- 5윤희면, 『조선시대 전남의 향교 연구』(전남대출판부, 2015).
- 6권수용 편역, 『전남선생안』(심미안, 2017).
- 7한문종, 「전북지방의 서원, 사우에 대한 시고 -『全北院宇錄』을 중심으로-」『전라문화논총』3(전북대 전라문화연구소, 1989).
- 8이동희, 「조선시대 전라도 부안현감의 임용실태」 『전라문화논총』6(전북대 전라문화연구소, 1993).
- 9최영성, 「일재 이항의 학문 경향과 특성」 『전통문화논총』5(한국전통문화대학, 2007).
- 10김철배, 「조선 전기 태조진전의 건립과 경기전」 『전북사학』34(전북사학회, 2009).
- 11안현주, 「조선시대 임진왜란 이전 전라도의 서적출판에 관한 고찰 1 : 全南地域을 중심으로」 『서지학연구』46(서지학회, 2010).
- 12정요근, 「고려~조선전기 전라도 서남해상 도서지역의 군현 편제와 그 변화」 『도서문화』39(목포대 도서문화연구원, 2011).
- 13정병삼, 「조선시대의 호남불교 연구의 성과와 전망」 『불교학보『 59(동국대 불교문화연구원, 2011).
- 14이종범, 「15세기 말~16세기 중반 전라도 유배인의 활동과 교유양상」 『역사학연구』41(호남사학회, 2011).
- 15오경택, 「15~16C 전반 전주권 士族社會의 형성과 활동」 『한국학논총』36(국민대 한국학연구소, 2011).
- 16옥영정, 「조선시대 完營의 인쇄문화에 대한 고찰」 『서지학연구』50(서지학회, 2011).
- 17이동희, 「전주한지의 역사성에 관한 기초적 고찰」 『전북사학』45(전북사학회, 2014).
- 18김소희, 「조선전기 전라도의 출판문화 연구 -지방관서의 간행양상을 중심으로-」 『서지학연구』62(한국서지학회, 2015).
- 19김경옥, 「조선전기 나주지방 재지세력의 동향과 김해김씨(시중공파)의 위상」 『호남문화연구』59(전남대 호남학연구원, 20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