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문화 융합(CC)

이야기하기의 행동경제학

원문정보

The Behavior Economics in Storytelling

김경섭, 김정래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It is true that many tales delivered in an ‘Story-telling’ auditorium or theater have not so much exquisite and refined forms as distorted and deteriorated ones. Furthermore, when false interpretations of tale-performers added into the category of the texts of tales, the problems can be made worse. In case of oral folk tales, there can be discordance between the standpoint of a tale-performer and the contents of a tale. This thesis is directly aimed at pointing out the ‘Behavior Economics’ problems concerned with the reading and interpretation of tales through investigating the missing parts of a text in reading tales. Man's rationality is meant to be confined to bounded rationality. Instead of making best choices, bounded rationality leads consumers to make a decision which they think suffices themselves to the point requiring no more consideration on the given item. It is the very Heuristic that does work in the process of this simplified decision making process. Heuristic utilizes established empirical notion and specific information, and that's why there can be cognitive ‘Biases’ sometimes leading to inaccurate judgment. As Oral Literature is basically based on heavy guesswork and perceptual biases of general public, it is imperative to contemplate oral literature in the framework of Heuristic of behavior economics. This thesis deals with thinking types and behavioral patterns of the general public in the perspective of heuristic by examining ‘Story-tellings’ on the basis of personal or public memory. In addition, heuristic involves how to deal with significant but intangible content such as the errors of oral story teller, the deviations of the story, and responses of the audience.

한국어

이야기 구연 현장에서 전달되는 이야기들은 세련되고 정제된 것들 보다는, 왜곡되고 변질된 채 전승되는 이야기들이 더 많다. 거기다가 구연자의 엉뚱한 해석까지를 텍스트 범주에 포함한다면 문제는 더 복잡해진다. 구 연 설화의 경우에는 이야기를 연행하는 구연자의 세계관과 이야기 내용이 불일치하는 경우가 흔히 발생하게 되는 데, 이 글은 그 동안 우리가 설화를 읽으면서 지나치고 말았던 부분들을 행동경제학적 관점에서 점검함으로써 설 화 읽기 내지는 해석에 새로운 관점을 제기한다. 모든 인간의 합리성이란 제한된 합리성일 수밖에 없다. 제한된 합리성으로 인해 인간은 최선의 선택을 하지 못 하고 자신이 충분하다고 생각하는 만족할 만한 수준에서 사고를 멈추고 단순한 모형이나 대략적인 추측에 의존하 여 의사결정을 하게 된다. 이 단 순화되는 의사결정 과정에 작용하는 것이 바로 휴리스틱(Heuristic)이다. 휴리스 틱은 기존 경험이나 특정 정보만을 이용하기 때문에 의사결정이나 행동에 편향(Bias)이 생기게 된다. 구비문학은 언어 대중의 어림짐작과 사고의 편향성에 기반을 두고 전승되어 온 특징이 있기에, 행동경제학의 휴리스틱과 구비문학을 관련시킬 여지는 충분하다. 이 글은 대중의 사고유형과 행동양식에 대한 행동경제학의 관 점을 원용하여, 개인과 대중의 기억을 바탕으로 구연되는 이야기에 대해 휴리스틱의 관점에서 논의했다. 휴리스틱 은 화자의 실수, 이야기의 착종, 청중의 반응 등 이야기 구연에서 자주 포착되었지만 본격적으로 논의하기 어려웠 던 유의미한 사항들을 어떤 방식으로 다룰 수 있는지도 내포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목차

요약
Abstract
Ⅰ. 서론
Ⅱ. 이야기하기에 나타나는 두 자아
Ⅲ. 이야기하기에 나타나는 불일치
Ⅳ. 고찰 및 결론
References

저자정보

  • 김경섭 Kyung-Seop Kim. 종신회원, 을지대학교 교양학부 교수
  • 김정래 Jeong-Lae Kim. 종신회원, 을지대학교 의료공학과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