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문화 융합(CC)

예술가와 공학자의 협업 모델 : ‘예술과 기술의 실험’ 그룹

원문정보

Collaboration between Artists and Engineers : ‘Experiments in Art and Technology’ Group

임산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Experiments in Art and Technology’ Group was established in the mid-20th century, and then developed the larger interdisciplinary experiments into the range of art world and its outside field. The motive power of group’s activities was the collaboration between artists and engineers traversing the boundary between old different disciplinary conventions. E.A.T was officially launched in 1967 by the engineers Billy Klüver and Fred Waldhauer and the artists Robert Raushenberg and Robert Whitman. They performed various possibility of material, technology, and engineering available to contemporary art. By reflecting the function of art and technology in society, eventually they developed the methodology of new aesthetics which had organic relationship with contemporary world. In this sense, this research have its academic significance. This paper firstly examined the socio-cultural context of emerging the E.A.T. group as a representative model for convergent practice, and verified the fact that the collaboration between artists and engineers had produced the expansion of artistic expression as well as new relationship among art, engineering, and society by considering E.A.T’s various projects. Therefore, I will refer the E.A.T. group as an exemplary model for concrete method of collaboration that contemporary discourses about convergence need.

한국어

‘예술과 기술의 실험’ 그룹은 20세기 중반, 예술적 세계와 그 바깥의 영역까지 아우르며 거대한 상호 학제적인 실험을 전개하였다. 이러한 활동의 실제적인 동력은 서로 다른 오래된 학문적 관습의 경계를 가로지르며 창의적 가능 성을 확장해온 예술가와 공학자의 협업이었다. 공학자 빌리 클뤼버와 프레드 발트하우어, 그리고 예술가 로버트 라우 센버그와 로버트 휘트먼이 1967년에 공동 설립한 ‘예술과 기술의 실험’ 그룹은 물질, 기술, 공학이 동시대 미술에 적 용 가능한 여러 가능성을 선구적으로 수행하였다. 이들의 활동은 사회에서의 예술과 기술의 기능을 새롭게 성찰함으 로써 궁극적으로 동시대 세계와의 유기적 관계성을 지니는 새로운 미학을 개발시키는 방법론을 개발해 나갔다는 점 에서 그 학문적 연구의 의의를 가질 수 있다. 이에 본고에서는 우선, ‘예술과 기술의 실험’ 그룹이 등장하게 된 사회 문화적 맥락을 예술과 기술의 운동의 차원에서 살핀 후, 그룹의 다양한 프로젝트들을 검토함으로써 예술가와 공학자 의 협업이 예술적 표현의 확장뿐만 아니라 예술과 공학과 사회 사이의 새로운 상호적 관계성을 생산하는 데 공헌하 였음을 확인한다. 이러한 논의를 통해 동시대의 융합 담론에서 필요로 하는 구체적인 협업의 방법론의 한 모델로서 참조하고자 한다.

목차

요약
Abstract
Ⅰ. 서론
Ⅱ. 본론
1. 예술과 기술 운동의 맥락
2. ‘예술과 기술의 실험’ 그룹의 등장
3. ‘예술과 기술의 실험’ 그룹의 프로젝트
Ⅲ. 결론
References

저자정보

  • 임산 Shan Lim. 정회원, 동덕여자대학교 큐레이터학과 부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