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영화 <완득이>에 사용된 결핍과 치유로서의 음식

원문정보

Food as Lack and Healing used in the Film Punch (Wandeugi)

우남희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Despite food is used as a medium that leads people to communication and reconciliation in this film Punch (Wandeugi), no earnest studies are conducted on that. Thus, this study examined the meanings of foods in terms of lack and healing with those placed at a physical distance between characters visually realized in the video text of the film Punch. As a result, snack and bread in the film Punch were used as media symbolizing Wandeugi’s poverty and lack. Meanwhile, Precooked Dried Rice, Ramyeon, Soju, and Makgeolli contribute to understanding individual characters and communicating with them. Precooked Dried Rice connects the teacher in charge with Wandeugi while Ramyeon connects the mother and the son. Also, Soju and Makgeolli prapare a chance for the characters in a conflicting relationship to communicate with each other. Wandeugi heals his past injury from his living apart from his mother for 17 years, sharing foods together and eating the foods cooked by her. Moreover, stewing boiled in plain water (Baeksuk) cooked by his mother binds neighbors as well as the family members, including the mother herself together by sharing it. Like this, various foods appear in the film Punch. Although it is not a work produced with food as a theme, foods are used in resolving Wandeugi’s conflict. Moreover, foods are used to bind the residents of the alienated from mainstream society due to the problems of a multicultural society and the family of the disabled. Through the study of the signification by which foods are used in this film, it was noted that the lack of foods greatly affected the formation of the human identity and that foods were also used to heal the human pain caused by the lack of foods.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foods contributed to resolving conflicts of the community in a conflicting relationship and strengthening their solidarity.

한국어

이 영화에서 사람과 사람 간의 소통과 화해를 이끄는 매개체로 음식이 사용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에 관한 본격적인 연구가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영화 <완득이>의 영상텍스트에서 시각적으로 구현된 각 인물 간의 물리적 거리 사이에 놓여있는 음식을 대상으로 그 음식들이 지니는 의미를 결핍과 치유의 관점에서 살폈다. 그 결과 영화 <완득이>에서 과자와 빵은 완득이의 가난과 결핍을 상징하는 매개체로 사용되고 있었다. 반면에 햇반과 라면, 소주, 막걸리는 각각의 인물들을 이해하고 소통하는 데 이바지한다. 햇반은 담임과 완득이를 이어주고 라면은 어머니와 아들을 이어준다. 그리고 소주와 막걸리는 갈등 관계에 놓인 인물들이 서로 소통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해 주는 역할을 수행한다. 완득이는 어머니와 17년간 떨어져 지내면서 결핍된 애정을 어머니와 함께 음식을 나눠 먹기와 어머니가 직접 만든 음식을 먹는 것으로 과거의 상처를 치유하고 관계를 개선하고 있다. 그뿐만 아니라 어머니가 만든 노계 백숙은 어머니를 비롯한 가족뿐만 아니라 이웃들과 함께 나누어 먹음으로써 구성원들을 하나로 결속시킨다. 영화 <완득이>에는 이처럼 다양한 음식이 등장한다. 비록 음식을 주제로 만들어진 작품은 아니지만, 영화에서 음식은 내적 갈등을 겪는 완득이의 갈등을 해소하는 데 사용된다. 그뿐만 아니라 다문화 사회의 문제, 장애인 가족의 문제 등으로 주류 사회에서 소외된 달동네 주민들 간의 갈등도 음식을 함께 나누어 먹으면서 음식이 하나의 공동체로 결속하는 데 사용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 영화에서 음식이 어떠한 의미 작용으로 사용되고 있는지에 대한 연구는 음식의 결핍이 인간의 정체성을 형성하는 데 큰 영향을 끼칠 뿐만 아니라 음식의 결핍으로 발생한 인간의 아픔을 치유하는 데 음식이 사용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뿐만 아니라 음식이 갈등 관계에 놓인 공동체의 갈등을 해소하고 그들의 결속을 다지는 데 이바지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목차

<국문요약>
Ⅰ. 음식의 사회ㆍ문화적 의미와 영화 <완득이>
Ⅱ. 영화 <완득이>의 결핍과 치유의 음식
1. 결핍의 음식 - 과자, 빵
2. 치유의 음식
1) 햇반, 라면, 소주, 막걸리
2) 도시락밥, 노계 백숙
Ⅲ. 결론
<참고문헌>

저자정보

  • 우남희 Woo Namhee. 동서대학교 민석교양대학 시간 강사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3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