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배위(裵頠) 숭유론(崇有論)의 존재론 연구

원문정보

A Study on the ontological View of the Peiwei’s Chongyoulun

이진용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paper aims at studying the philosophy of Peiwei’s Chongyoulun in the view of ontological problems. Criticizing the theory of Guiwulun in the Weijin Xuanxue, the perspective of ontology of Peiwei is as follows: first, the individual has taken a life of it own in the particular way, each has own attribute and quality. Second, the individual is not a self fulfilling existence, so each has to rely on external conditions and factors. It means that each has the mutual dependent relationships. Third, all existence is not only a separate presence, but also they are the being who can live through the co-operative relationships, it depends on the ontological principle. Last, all existence tends to indiscriminately satisfy his own desires that probably counter harmonious order, so each has to abide by social norms in the view of social morality. Thus, Peiwei tried to found the organic view of the world through the harmonious union of the separate presence.

한국어

이 글은 배위 『숭유론』의 철학사상을 세계관과 존재론의 관점에서 고찰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배위는 위진현학 귀무론의 세계관을 비판하며 세계와 존재에 대한 새로운 이론을 정립하였는데, 그 내용은 몇 측면의 특징을 지닌다. 첫째, 모든 개별자는 각자의 방식대로 저절로 생겨나는 것[自生]으로, 각 개별자는 서로 다른 속성과 성질을 지닌다. 둘째, 서로 다른 개별자들은 모두 자기 충족적이지 못하고 ‘치우침’을 지니기 때문에 외부 사물이나 사태에 의존, 의지[外資]할 수밖에 없는데, 이는 상호 보완적이고 의존적 관계맺음의 형식이다. 셋째, 현상계의 개별자는 각자 서로 다른 속성에 따라 개별적 생명활동을 하는 가운데 상호 의존의 관계 형성을 통해 조화로운 전체 세계를 구성하며, 그 과정에는일정한 원리나 규율[理]이 작동한다. 넷째, 각 개별자의 무분별한 욕구활동은 때로는 전체의 조화로운 질서를 어그러뜨릴 수 있기 때문에, 사회윤리적 보완 장치로서 ‘유위(有 爲)’의 행위 규범이 필요하다. 이처럼 중국철학사상의 세계와 존재에 대한 이해에서, 배위는 모든 개별적 사물들은 상호 보완적, 상호 의존적이라는 존재 형식을 지닌다는 점을강조함으로서 유기체적 세계관을 정립하고자 했다고 평가할 수 있다.

목차

<한글요약문>
1. 들어가는 말
2. ‘자생(自生)’
3. ‘외자(外資)’와 ‘리(理)’
4. 유를 이루는 것은 모두 유이다[濟有者皆有也]
5.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이진용 Lee, Jin-Yong. 연세대학교 인문예술대학 철학과 부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