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융합 의과학

미혼여성 간호사의 희망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대인관계와 전문직 자아개념을 중심으로

원문정보

A Study of Factors Influencing on Single Female Nurses’ Hope : Focusing on Interpersonal Relations and Professional Self-concept

성경미, 이승민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was done to examine interpersonal relations, professional self-concept and hope in single female nurses. A survey using a structured questionnaire was conducted with 219 nurses who work in one of six general hospitals in the large cities.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August 17, 2012 to September 14, 2012.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t-test, One way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ith using SPSS Windows 25.0.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interpersonal relations, professional self-concept and hope according to participants’ characteristics. Participants’ interpersonal relations, professional self-concept and hope were all found to have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s (r=.26-.45, p<.001). Participants’ general characteristics, interpersonal relations, and professional self-concept explained 26.4% of variance in hope levels. Findings from this study should be useful in the development of programs to promote participants’ hope with interpersonal relations and professional self-concept.

한국어

본 연구는 미혼여성 간호사의 대인관계능력, 전문직 자아개념 및 희망감의 정도와 상관관계를 확인하고, 대상자 의 희망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파악하기 위한 것이다. 자료수집은 대도시 6개 종합병원에서 일하는 미혼여성 간 호사 219명을 대상으로 2012년 8월 17일부터 2012년 9월 14일까지 실시되었다. 자료분석은 SPSS Windows 25.0으 로 t-test, One way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를 이용하였 다. 연구결과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라 대인관계, 전문직 자아개념, 그리고 희망감의 점수는 차이가 있었다. 연구대 상자의 대인관계, 전문직 자아개념, 그리고 희망감 간에는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다(r=.26-.45, p<.001).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대인관계, 그리고 전문직 자아개념의 희망감에 대한 설명력은 26.4%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간호 사의 대인관계 및 전문직 자아개념과 함께 희망감을 향상시키기 위한 프로그램 개발에 활용될 수 있다.

목차

요약
Abstract
1. 서론
1.1 연구의 필요성
1.2 연구의 목적
2. 연구 방법
2.1 연구 설계
2.2 연구 대상
2.3 연구 도구
2.4 자료수집방법
2.5 자료 분석 방법
3. 연구결과
3.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3.2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연구변수의 차이
3.3 대상자의 연구변수 간 상관관계
3.4 대상자의 희망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4. 논의
5. 결론
REFERENCES

저자정보

  • 성경미 Kyung-Mi Sung. 경상대학교 간호대학 교수·건강과학연구원
  • 이승민 Seung-Min Lee. 마산대학교 간호학과 겸임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