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경영

소셜 미디어에서 개인 식별 정보와 사생활 정보 공유 의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원문정보

Antecedents of Users' Intentions to Give Perso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Privacy-Related Information in Social Media

김병수, 김대길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In the social media, information that users share with service providers can be divided into perso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such as gender and age and privacy-related information such as photos and comments. However, previous works on IS and service management have shed relatively little light on the difference of information-sharing decisions depending on the type of information. This study examines information-sharing decisions by separating the two types of information. A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method is used to test the research model based on a sample of 350 Facebook in South Korea. Analysis results show that self-expression, trust, and perceived security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both user’s intentions to give perso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their intentions to give privacy-related information. However, privacy concerns negatively affected their intentions to give personal identification and intention to give privacy-related information. The analysis results confirm that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decision-making processes about sharing perso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ones about sharing privacy-related information.

한국어

소셜 미디어 사용자들이 서비스 업체에 공유하는 정보는 성별, 나이와 같은 개인 식별 정보와 사진, 댓글과 같은 사생활 정보로 구분할 수 있다. 하지만 기존 소셜 미디어 관련 연구들에서는 정보 유형에 따른 의사 결정 차이가 생길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두 정보 유형을 구분하여 정보 공유 의사 결정 차이를 살펴본 연구는 미흡하였다. 그래서 본 연구에서는 정보 유형에 따른 정보 공유 의사 결정 차이를 살펴보고자 한다. 350명의 페이스북 사용자를 대상으로 연구 모형을 분석하였다. 연구 모형 분석 결과, 자기 표현, 신뢰, 인지된 보안은 개인 식별 정보 의지와 사생활 정보 공유 의지 모두에 양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하지만, 프라이버시 침해 우려는 개인 식별 정보 의지와 사생활 정보 공유 의지에 부정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개인 정보 공유에 대한 의사 결정과 사생활 정보 공유에 대한 의사 결정이 차이가 없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목차

요약
Abstract
1. 서론
2. 이론적 배경
2.1 자기 표현
2.2 신뢰
2.3 인지된 보안
2.4 프라이버시 침해 우려
2.5 개인 식별 정보와 사생활 정보 공유
3. 연구 모형 및 연구 가설
3.1 자기 표현
3.2 신뢰
3.3 인지된 보안
3.4 프라이버시 침해 우려
4. 연구 방법
4.1 척도 개발
4.2 설문 조사 수행 및 표본
5. 연구 결과
5.1 측정 모형
5.2 구조 모형
6. 결론
REFERENCES

저자정보

  • 김병수 Byoungsoo Kim. 영남대학교 경영학과 부교수
  • 김대길 Daekil Kim. 서울여자대학교 언론영상학부 부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