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통합적 기독상담모형으로서 비블리오드라마

원문정보

Bibliodrama as an integrative modality of Christian Counseling

황헌영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paper endeavors to define Bibliodrama as the modality of integrative Christian counseling, which combines Christian counseling with modern group counseling theories and techniques. The concern of responding to the demands for sufficient, practical knowledge and techniques of secular counseling has been a long-term debate within the field of Christian Counseling. In response to this interest, this paper describes the historical development of the dialogue between theology and human sciences and searches for an integrative modality that reconciles faith and counseling techniques into an effective tool for caring for the religious people with supplementary assistance from secular counseling. It introduces Bibliodrama as a newly developed group counseling technique of which origin traces back to the ancient Judaic movement of Midrash that is currently being used with the adoption of drama therapy and action methods by Jacob Levy Moreno. This paper further identifies the integrating elements of Bibliodrama with such effects as that of experiential healing methods, power of spontaneity in playful approach to the participants, and creativity aroused through role rehearsal and expansion. And most of all, the Bible and its stories become the prominent source for helping people experience healing in the integrative methods of group counseling.

한국어

현 기독(목회) 상담계는 일반상담의 수용여부를 넘어서서 기독상담이 오히려 신앙 과 상담을 조화롭게 통합해야하는 독특한 상담모형을 필요로 하고 있다. 이 논문의 목적은 현재 성서와 현대심리치료 특별히 사이코드라가 만나 기독교의 정체성을 갖춘 집단상담 비블리오드라마를 통해 이 시대에 필요한 기독상담 모형을 발견하는데 있 다. 이를 위해 먼저 그동안 신학계에서 일반학문과의 관계성 정립을 위해 논의해온 내용들을 살피었다. 20세기, 인간의 실존에 대한 많은 물음이 대두됨에 따라 신학은 일반사회와 문화에 준비된 답을 제시 해야할 필요성이 대두되었고 이를 직시한 폴 틸 리히는 그의 상관관계론을 통하여 신학과 문화의 대화 지평을 열었다. 이후 다원화된 사회에서 신학의 우월성을 더이상 주장하기 어려운 현실 가운데 데이빗 트레이시는 상호 비판적 상호대화를 주장하여 수정된 상관관계론을 제시한다. 이러한 논의들은 실천신학자였던 단 브라우닝에 이르러 신학과 현대심리학의 대화로 이어져 신학과 현 대심리학이 공유하고 있는 자원들을 활용하는 상호 비판적 대화의 장을 열어 신앙과 상담의 통합적 과제를 본격적으로 요구되는 시대를 알리었다. 또한 신학과 심리학의 대화는 목회상담의 선구자 안톤 보이즌의 “살아있는 인간문서” 촉구를 통해 20C초반 에 시작된 임상목회교육로부터 이미 구체화된 요구 과제였음을 발견한다. 이제 이와 같은 논의들이 촉구한 과제들을 만족시키며 구체적으로 기독상담계에서 이미 활용되 고 있는 상담모형으로 비블리오드라마의 발전은 그 통합적 상담모형의 발견과 성장의 과정을 여실히 보여준다. 바로 ‘몸’을 활용하여 전인적으로 성서이해의 접근을 시도했 던 고대 미드라쉬 방법론과 현대 드라마치료의 액션메소드가 어떻게 만나 공통점을 찾으며 비블리오드라마는 통합적 상담모형의 발전을 거듭해 온 것이다. 비블리오드라 마는 신앙과 집단상담의 통합적 효과들과 특징들을 전인적 치유방법론, 놀이와 몰입 을 통한 자발성, 역할확대와 창의성의 확장 그리고 성서가 주는 인간 삶을 위한 근원 적이고 보편적인 치유의 힘을 통합적 상담모형의 특색을 제공한다.

목차

초록
I. 들어가는 말
II. 신학과 상담의 관계성 정립위한 논의들
III. ‘몸’을 활용한 ‘전인적’미드라쉬 성서해석운동
IV. 성서와 드라마치료의 만남을 통한 통합적 상담효과
IV. 성서와 드라마치료의 만남을 통한 통합적 상담효과
V. 나가는 말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황헌영 Whang, Henry Heonyoung. 서울신학대학교 교수 / 실천신학 / 목회상담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6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