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popular music based modes of expression used in contemporary worship music from the aesthetics of music and sociol ogy of music perspectives and present what were understood. In the 1980s, Korean churches began to use drum and guitar, rhythmic instruments for wo rship music, starting with the Praise & Worship campaign. But this caused conflict between generations because it was difficult to be accepted in the fra mework of traditional worship service. But since 1990, churches have accepted new instruments naturally. But subsequent repulsion and inconvenience co existed in this period. The evaluation and interpretation of the musical pheno menon in then-contemporary worship music had not been made properly. At the heart of the conflict was the dichotomous thinking against art music and popular music. So it would be desirable to study a newly emerging phenomenon throug h the existing similar targets. To understand the popular music based modes of expression used in contemporary worship music objectively, this study loo ks at the similar phenomenon in the history of the 20th century popular musi c. Music critics posed curiosity and controversy in terms of artistic value ag ainst‘rock music’and‘popular music’appeared after the 1960s. Since then, it ha d been studied whether popular music could be interpreted independently. At the center of this were Theodor Ludwig Wiesengrund Adorno, Carl Dahlhau s, and Tibor Kneif. Contemporary worship music came to be interpreted with audience-centered aesthetics of music through‘the second aesthetics,’Tibor K neif’s theory, among the aesthetic arguments happening between art music a nd popular music. The society after the postmodernism refused to standardize or judge unli ke modern society. Interpreting the contemporary worship music from the ex isting worship service perspective may not be enough from the musicological point of view. Popular music is the musical phenomenon that sees commerci al ideas such as performance and merchantability as aesthetic value unlike ar t music. When popular music based modes of expression are used in contem porary worship music, the very characteristics must be considered for evalua ting the value and meaning. Recently, musical attempts such as using EDM (Electronic Dance Music) for worship music have been varied among young people. Accordingly this study concludes with observing the musical phenom enon newly attempted in contemporary worship music fields as musicological and sociological phenomenon and proposing to lay a place for theology to the new forms of music used in the next-generation worship.
한국어
이 연구는 현대 예배음악에 사용된 대중음악적 표현양식을 음악미학과 음악사회학 으로 해석하고 그 이해를 제시하는 것에 목적을 가진다. 1980년대 한국교회는 경배와 찬양(Praise & Worsip) 운동을 시작으로 예배음악에 리듬악기인 드럼과 기타를 사용 하기 시작했다. 이는 전통적인 예배 예전의 틀에서 수용되기 어려운 면이 있어 세대 간의 갈등을 일으켰다. 1990년 이후 교회는 새로운 악기를 자연스럽게 수용했지만, 그 에 따른 거부감과 불편함도 공존한 시기였다. 당시 현대 예배음악에 나타난 음악 현 상에 대한 적절한 평가와 해석은 이루어지지 못했다. 그리고 이 갈등의 중심에는 예 술음악과 대중음악을 이분법적으로 바라보는 사고가 깔려있었다. 새롭게 생겨난 경향을 연구하기 위해서는 기존에 있던 유사 대상을 통해 연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현대 예배음악에 사용된 대중음악적 표현양식을 객관적으로 이해하기 위해 20세기 대중음악사에 나타난 유사 현상을 살펴보려 한다. 1960년 이후 등장한 록 음악(Rock Music)을 시작으로 음악비평가들은 대중음악의 예술적 가치에 대한 의구심과 논란을 제기했다. 이후 대중음악이 독립된 음악학적 해석이 가능한지 를 연구하게 되었는데 그 중심에 아도르노(Theodor Ludwig Wiesengrund Adorno), 달하우스(Carl Dahlhaus), 티보르 크나이프(Tibor Kneif)등이 있었다. 이 논문에서는 예술음악과 대중음악 사이에 일어난 미학적 논쟁 중 크나이프의 이론인 ‘제2의 미학’ 을 통해 수용자 중심으로 현대 예배음악을 해석하게 된다. 포스트모더니즘 이후 사회는 근대사회와 달리 무엇을 기준화하고 판단하는 것을 거부하기에 현대 예배음악을 기존의 예배 예전의 측면에서 해석하는 것은 음악학적으 로 바라볼 때 부족함이 있을 수 있다. 대중음악은 예술음악과 달리 퍼포먼스와 상품 성 등 상업적 아이디어를 그 미적 가치로 여기는 음악 현상이다. 현대 예배음악에 대 중음악적 표현양식이 사용될 때 바로 이러한 특성을 고려하여 그 가치와 의미를 평가 해야 한다. 최근 젊은이들 사이에는 E.D.M. (Electronic Dance Music)을 예배음악에 사용하는 등 그 음악적 시도가 다양화되고 있다. 이에 따라 현대 예배음악 현장에 새 롭게 시도되는 음악 현상을 음악학적, 사회학적 현상으로 관찰하여 차세대 예배에 사 용될 새로운 음악 형식에 대한 신학적 자리를 마련할 것을 제시하면서 본고를 마무리 하고자 한다.
목차
I. 들어가는 말
II. 현대 예배음악의 대중음악적 표현양식에 대한 인식확장
1. 예배 예전에서 예배음악의 자리
2. 표현으로써 예배음악
3. 음악미학의 대상확장
III. 음악미학, 음악사회학의 관점에서 바라본 예술음악과 대중음악
1. 예술음악과 대중음악의 이분법적 사고
2. 호모포니에 대한 음악사적 고찰 (음악의 근대화와 합리성 추구)
3. 대중음악에 관한 음악학적 연구 시도
IV. 티보르 크나이프(Tibir Kneif)의 이론으로 바라본 현대 예배음악
1. 크나이프의 음악미학의 초점
2. 누가 판단할 것인가? 대중음악적 양식과 소비에 대한 전문가적 비평과 대중의 선택
V. 나가는 말
참고문헌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