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2019년도 국제보건미용학회 춘계 학술대회 : 논문 발표

미용서비스 종사자의 직장 내 여가활동 지원이 조직태도와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초록

한국어

최근 일과 개인의 삶의 균형을 맞추는 여가문화의 필요성이 대두되면서 보다 나은 삶의 질을 추구하는 활동이 사회적으로 공감대가 형성되고 있는 가운데 기업들이 우수한 인재확보를 위해 여가문화에 대한 복지대책을 중요한 경쟁력 확보를 위한 수단으로 시행하고 있다. 이에 본 연 구는 미용서비스 종사자의 직장 내 여가활동 지원으로 종사자들의 조직태도를 높이고 노동생산 성증가와 이직률 등을 낮추어 우수한 인재확보와 서비스질 향상으로 미용서비스 산업의 발전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를 위한 자료 수집은 서울(경기권), 부산(경남권)지역의 미용서비스 종사자 430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으며, 그 중 불성실한 응답을 제외한 377부를 본 연구에 사용하여 다음과 같 은 분석결과를 얻었다. 첫째, 직장 내 여가활동 지원 유무에 따라 직무만족과 조직몰입, 이직의도에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독립표본 t-test를 실시한 결과 여가활동 지원을 받는 경우 직무만족과 조직몰 입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여가활동 지원을 받지 않는 경우가 이직의도가 높게 나타났다. 둘째, 모든 구성 개념들 간에 연관성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독립변수 와 종속변수간의 상관관계는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고, 여가활동 지원만족은 직무만족과 조직몰 입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또한 여가활동 지원만족 은 이직의도와도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부(-)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미용서비스종사자의 직장 내 여가활동 지원이 종사자에게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 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는 직장 내 여가활동 지원을 통해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에 유의 미가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직의도는 유의미한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로 보아 지금껏 여가활동에 관한 연구들은 직장인의 개인 여가활동과 집단 여가 활동 등으로 다양한 부분에서 조사연구 되어 왔지만, 본 연구에서는 직장 내에서 여가활동을 지 원하여 종사자의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에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이 직의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부(-)의 영향을 미침을 밝혔다. 이로써 미용서비스 종사자의 직 장 내 여가활동 지원이 종사자의 조직태도와 이직의도에 영향관계가 검증되어 통계적으로 유의 한 결과를 얻었다는데 그 의미가 있다. 미용서비스 산업은 기계의 힘을 거의 이용하지 않는 인적자원의 산업으로 종사자의 직무태도에 의하여 고객에게 제공되는 기술과 서비스 수준이 하나의 상품이 되므로 종사자의 직무에 대 한 직무태도는 고객만족과 경영성과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이에 직장 내 여가활동 지원을 통 하여 직무만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쳐 개인의 삶의 질과 행복지수가 높아져 고객만족과 경영성 과에 지대한 영향력을 미칠 수 있는 기초 자료를 제공할 수 있다는 점에서 시사하는 바가 있다.

저자정보

  • 최진숙 동명대학교 복지산업대학원 뷰티케어학과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