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자치단체장 인사권한의 발전적 재정립방안 : 인사청문회제도를 중심으로

원문정보

Developmental Re-establishment of Personnel Authority of Local Governor : Focus on a Personnel Hearings System

최진혁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It is necessary to reflect on how the public officials who are the subject of the administrative and financial services in the local political administrative environment change as the residents' autonomy can be transformed into the bureaucracy that responds positively to the demands of the residents. There is a reason why, as the highest administrative organ of the executive department of the municipal organization, it is necessary to properly exercise the personnel rights of the head of the local government in accordance with the will of the residents. In accordance with the request of the local public servants' law and the merit system, local governments should establish institutional devices that can verify the personnel of local governments to select and manage qualified and qualified personnel within a certain range. The failure of the president of the provincial public corporation, which lacks the idle behavior and professionalism of general public officials whose status is guaranteed, leads to the inefficient operation of local governments and financial deterioration. In the end, it is necessary to examine institutional devices that allow the appointment of appropriate personnel through the verification of the personnel authority of the head of the local government. The exercise of the personnel rights of the head of the local government is important in terms of realizing his philosophy and confidence, realizing the promised and verified promise within the election period, controlling the bureaucracy and demonstrating leadership. In the end, however, the head of the local government should answer how to secure the homogeneity between the bureaucratic organization and the citizen, and it seems to be the exercise of personnel rights in line with the citizen's eye level. In this regard, institutional devices are needed to become a self-governing body for the citizen and the public officials to share their views. It is necessary to seek the authority of the local councils to check personnel rights in the system.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seek the introduction of a personnel hearings in terms of appointment of public officials based on professionalism and fairness. However, in the first stage, the public servant who is the subject of the personnel hearings should be limited to non-career as a civil servant other than a career, and as a member of a local government requiring the approval of a local council. In the next stage, where the congressional(personnel) hearings system is settled to a certain extent, it is necessary to consider expanding it to the vice-governor, the high-ranking official.

한국어

주민자치라는 지방정치행정환경변화에 행·재정서비스의 주체가 되는 공직자를 어떻게 주민의 요구에 적극적으로 대응하는 관료제로 변화시켜나갈 수 있을 것인가에 대한 성찰 이 필요하다. 여기에 자치단체의 집행부 최고행정기관으로서 자치단체장이 가진 인사권 을 주민의 뜻에 맞게 합당하게 행사하도록 해주어야 하는 이유가 있다. 우리나라는 지방 공무원법에서 규정하고 있는 실적주의 요청에 따라 자치단체장의 인사를 일정한 범위 내 에서 실력과 자격을 갖춘 인사를 선발하고 관리할 수 있도록 검증할 수 있는 제도적 장 치를 강구해야 한다. 신분이 보장된 일반공직자들의 안일한 행태와 전문성이 결여된 지 방공기업 사장의 부실경영은 자치단체의 비효율적 운영과 재정악화로 이어지고 있다. 이 는 결국 지역주민의 폐해로 돌아오게 된다는 사실에서 자치단체장의 인사권한의 검증을 통해 적정한 인사를 임용할 수 있도록 하는 제도적 장치를 강구할 필요성이 있다. 자치단체장의 인사권의 행사는 본인의 철학과 소신을 실현할 수 있고, 선거기간 내에 주장하고 검증받았던 공약을 실현한다는 것과 관료의 통제와 리더십 발휘라는 측면에서 그 중요성이 있다. 그러나 결국 자치단체장은 관료기구와 시민과의 동질성을 어떻게 확보 할 수 있겠는가에 대해 답해야 하며, 시민의 눈높이에 맞춘 인사권 행사가 되어야 할 것 으로 보인다. 그런 측면에서 시민과 공무원이 공감하는 자치단체장 인사권 행사가 되기 위한 제도적 장치가 필요하다. 제도권 내의 지방의회의 인사권 견제권한을 모색해 볼 필 요가 있다. 따라서 전문성과 공정성을 토대로 한 공직임용이라는 측면에서 인사청문회의 도입을 모색해 볼 필요가 있다. 그러나 인사청문회의 대상공직자는 우선 첫 단계에서는 경력직 이외의 공무원으로서 한시적이고, 정무직 성격으로 지방의회의 승인을 필요로 하 는 공무원으로 한정해야 할 것이다. 인사청문회제도가 어느 정도 정착된 다음 단계에서는 부단체장, 국·실장급 고위공직자에게도 확대해 나가는 방안도 고려해 볼 필요가 있다.

목차

요약
Ⅰ. 서론: 문제제기
Ⅱ. 자치단체장 인사권과 관련한 이론적 논의
1. 지방정부조직형태
2. 관료제 구성의 기본논리와 변천: 새로운 지방정치·행정환경변화에 맞는 관료제 구성
3. 논의의 틀
Ⅲ. 자치단체장 인사권의 규정내용
1. 자치단체장의 인사권의 범위와 한계
2. 인사위원회의 구성과 권한
Ⅳ. 자치단체장 인사권한의 발전적 대안: 인사청문회의 도입
1. 이원적 접근: 공무원 종류에 따른 인사청문회
2. 정부형태(기관구성형태)에 따른 인사청문회
3. 사례: 지방공기업사장 등 정무직 공무원의 인사청문회 도입
Ⅴ. 결론
참고문헌

저자정보

  • 최진혁 Choi, Jin-Hyuk. 충남대학교 자치행정학과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1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