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초록
한국어
과거 상류층이 향유하는 고급문화로 간주되던 예술작품은 오늘날 브랜드 차별화 와 시장 선점을 위한 전략적 마케팅 도구로써 대중화되고 있다. 아트인퓨젼(art infusion effect)은 이러한 기업의 명화 사용전략에 대한 긍정적 효과를 설명하고 있는 개념이다. 보 다 구체적으로, 아트인퓨젼이란 사람들이 지각하는 명화에 대한 인지적 범주에서 유발된 고급스러움(luxury)이 해당 명화가 차용된 제품에까지 전이(spillover)되어 해당 제품에 대해 긍정적인 평가를 내리게 됨을 의미한다(Hagtvedt and Patrick 2008). 그러나 최근 연구에서 지적한 바와 같이 시장에서 많이 사용된 일반적이고 익숙한 형태의 서양명화차용은 오히려 소비자로 하여금 부정적인 제품태도를 유발할 수 있다(Jung, Joo and Lee 2016). 뿐만 아니 라 시장에서도 다양한 종류의 서양명화들이 여러 범주의 제품군에서 이용되면서, 보다 차 별적이고 구체화된 형태의 명화차용전략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Naletelicha and Paswanb, 2018). 이러한 필요와 함께 국내 명화의 차별적 경쟁력을 확인, 제안하고자 본 영화는 국 내명화의 유형을 구분하고(동양화기법oriental vs. 서양화법occidental) 이에 대한 아트인퓨 전 효과에 대해 탐색하고자 하였다. 또한 본 연구는 기존 연구에서 제안하고 있는 명화가 유발하는 고급스러움의 제품 전이라는 매커니즘과 함께(Hagtvedt and Patrick, 2008), 명화차 용제품이 가지게 되는 독특성(uniqueness)에 대한 평가가 궁극적으로 제품평가에 어떠한 영 향을 미치는지 검증해보고자 한다. 명화(masterpiece)를 규정하는 예술작품에 대한 평가는 문화(culture)와 긴밀한 관계 를 맺고 있다(Mcrobbie 1999). 특히 다수의 문화심리학 관련 연구들은 서구문화권과 동양문 화권의 사람들을 사물을 관찰, 인지, 추론하는 방식에 있어서 서로 차이가 발생할 수 있음 을 지적하고 있다(de Oliveira and Nisbett, 2017; Hofstede, 1980; Morris and Peng, 1994; Nisbett, Peng, Choi, and Norenzatyan, 2001; Varnum, Grossmann, Kitayama, and Nisbett, 2010). 즉 같은 대상에 대해서도 사전지식에 차이가 존재하는 다른 문화권에서는 다른 평가를 내 리게 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Fiske and Linville, 1980). 이러한 맥락 하에서 한국작가의 작품 이 차용된 명화제품에 대한 평가에 있어서도 작가와 같은 문화권에 속한 한국소비자와 다 른 문화권에 속한 소비자 간 차별적 효과가 나타날 수 있음을 예상해 볼 수 있다. 정리하면, 본 연구의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국내 명화의 우수성을 시장에 알 리고, 대중화를 위한 방법을 찾아보고, 기존 서구명화를 자극으로 하여 이루어져왔던 아트 인퓨젼 연구 결과의 확장을 위하여 한국작가의 국내명화를 그 기법에 따라 두 가지 유형 (동양화법oriental vs. 서양화법occidental)으로 구분하여 명화차용의 효과성을 검증해보고 자 하였다. 둘째, 대상에 대한 차별적 평가를 내리게 되는 주 요인 중 하나인 소비자의 문 화적 특성에 따라 국내명화 유형에 따른 아트인퓨젼 효과에 차이가 나타나는지 확인해보고 자 하였다. 마지막으로 기존에 제안되지 않았던 새로운 아트인퓨젼 효과의 매개변수로서 명화에서 유발되는 제품 디자인의 독특성 지각의 효과를 검증해보고자 하였다. 연구의 모형은 [Figure 1]과 같다. 본 연구는 가설 검증을 위해 한국과 미국 각각에서 온라인 서베이 수행하였으며, 총 270개 데이터(한국: 137개(male 65(48.8%), mean age: 35.11(20-49), art major 6(4.5%), 미 국: 137개 (male 65(47.4%), mean age: 33.42(19-69), art major 8(5.8%))를 수집하였다. 실험은 2 (art type: oriental vs. western; within-subject factors) x 2 (cultural background: Korea vs. US; between-subject factor) 혼합설계로 디자인 하였다. 실증연구결과, 작품유형이 동양화기법인 경우 서양화기법인 경우보다 차용제품에 대한 선호도가 높게 나타났고, 소비자가 미국인인 경우(vs. 한국 소비자) 한국명화차용제품에 대한 태도가 더 높게 나타났다. 상호작용효과 의 구체적인 검증을 위하여 문화적 배경이 한국일 경우와 미국일 경우로 나누어 ANOVA 분석을 수행해 본 결과, 한국소비자의 경우에는 작품유형의 주효과가 유의미하지 않았으나, 미국소비자인 경우에는 동양화기법의 명화가 차용된 제품에 더 호의적인 평가를 하였다. 즉 한국작가의 작품이 동양화 기법인 경우 서양화 기법인 경우에 비해서 차용된 제품에 대 한 태도가 전반적으로 호의적이었으며, 특히 서양 문화권의 경우에는 서양화기법을 차용한 제품에 대한 태도가 특히 높게 나타났다. 그리고 이러한 효과는 제품에 대한 독특성지각과 고급스러움 지각의 이중매개에 의해 설명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한국명화의 유형이 명화차용제품태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지각된 고급스러움의 매개효과는 서양문화 권 소비자보다 동양문화권 소비자에게서 더 크게 나타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기존 명화차용 연구에서 다루고 있지 않던 국내작가의 작품에 대한 아 트인퓨젼 효과를 국내와 미국시장 소비자들을 대상으로 살펴봄으로써, 학문적으로는 기존 아트인퓨젼 연구를 확장하고, 실무적으로는 국내명화를 통한 제품 차별화 가능성과 국내 명화 자체의 세계시장에서의 대중화 가능성에 대한 전략적 방안을 제안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