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조선 문인의 漢詩에 나타난 阿房宮의 심상

원문정보

The Image of the Epang Palace(阿房宮)in the Chinese Poetry(漢詩) by Joseon Writers

조선 문인의 한시에 나타난 아방궁의 심상

강혜종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resent paper examines the image of the Epang Palace in Chinese poetry produced by Joseon writers, focusing on the historical authenticity and aestheticism of the Epang Palace for literary work. This study found that the poetries dealing with Epang Palace as a main material mostly are from the early to mid-Joseon dynasty. The image of Epang Palace stands extremely tall that it can almost touch the sky, and in the bird’s view of having immense space with hallways connecting to all directions with rooms like beehive. From a political perspective, the Epang Palace was considered as the cause for the fall of the Qin dynasty thus recognized as a negative aspect of history that the posterity must be vigilant about. At the same time, the appearance of the Epang Palace with the grandeur and brilliance, dramatic story and tragic fate of disappearing futilely in flames, became a historical lesson and literary aesthetics. Therefore, the Epang Palace was repeatedly illustrated in works of art and literature. The dramatic contrast of the scene in which the magnificent Epang Palace deteriorates into ashes created the imagery as a catharsis by collapsing the aesthetic space that was a symbol of power and lust that have lost the justified of existence. Through a comparative study of poetry by Joseon writers and the “Fu on the Epang Palace” (「阿房宮賦」) of Du Mu (杜牧; “Du Mok” in Korean; 803-852), this study found that many Joseon writers borrowed the contents and expressions in “Fu on the Epang Palace” when composing poetry with the theme of Epang Palace. Also considering the fact that discussions and the interpretation of “Fu on the Epang Palace” mainly occurred in the mid-Joseon dynasty, it can be concluded that the interest, enjoyment, and acceptance of “Fu on the Epang Palace” influenced the production of Epang Palace-themed poetry by Joseon writers.

한국어

본고에서는 역사성과 심미성을 지닌 진대의 아방궁에 주목하여, 조선 문인의 한시에 나타난 아방궁의 심상을 검토하였다. 아방궁을 詩題로 하거나 본문의 내용에서 직접적으로 다룬 한시 작품들은 주로 조선 전기에서 중기에 분포하였다. 아방궁은 하늘에 닿을 듯 우뚝 솟아, 공중에서 사방으로 통하는 복도와 벌집같은 수많은 공간이 있는 모습 등으로 형상화되었다. 아방궁은 왕조의 멸망을 불러일으킨 원인으로 꼽히며 후대의 경계가 되는 부정적 대상으로 인식되었지만, 아방궁의 웅장하고 화려한 면모와 극적 서사, 허망하게 화염 속에 사라져버린 비극적 운명은 역사적 교훈성과 문학적 심미성을 아울러 지닌 모티프로서 작품 속에서 반복적으로 형상화되었다. 부려한 아방궁이 화염 속에서 재로 쇠락해버리는 장면은, 존재의 당위성을 상실한 권세와 욕망의 표상인 심미적 공간을 몰락시키는 카타르시스의 기제로서 아방궁의 대비적 심상을 만들어냈다. 본고에서는 조선 문인의 한시에 나타난 아방궁의 심상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杜牧(803-852)의 「阿房宮賦」에 주목하여, 본 작품의 내용과 표현이 조선 문인의 아방궁 소재 한시에 차용된 경우가 많았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아방궁부」의 해석에 대한 논의도 주로 조선 중기에 이루어졌다는 점에서, 조선 문단의 「아방궁부」에 대한 관심과 향유, 수용이 조선 문인의 아방궁 소재 한시 창작에 영향을 끼친 동인이자 아방궁 심상을 형성하는 주요한 요인이라고 볼 수 있었다.

목차

국문초록
1. 머리말
2. 조선 문인의 한시 속 阿房宮: 부려와 쇠락의 심상
3. 杜牧의 「阿房宮賦」 수용과 아방궁 심상의 형성
4.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강혜종 Kang, Hyejong. 연세대학교 국어국문학과 강사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7,6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