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explores the material features and Korean linguistic features of Geochangbyeolgok in Ogura Bunko. First of all, the findings examined on the transcribers and the time of transcription show that the transcriber was Nakamura Shojiro who came to Busan as a Tsushima’s Korean interpreter, and the time of transcription was assumed between 1873 and 1879. Unlike other versions, the version of Ogura Bunko was the product of Korean language learning of Tsushima’s Korean interpreter who wanted to learn the Korean language, the society and history of the Joseon Dynasty through Gasa. And this revealed the material value of Geochangbyeolgok in Ogura Bunko. Next, it examines the Korean linguistic features of this version focusing on Chinese characters, orthographical errors and dialect. Although the exposure of Chinese characters was quite high in this version compared with other versions, the lack of knowledge on the history and society of Joseon Dynasty resulted in the inaccurate Chinese transcription. And the transcription errors of the final consonant often shown with the materials of Tsushima’s Korean interpreters. In addition, it discovers the examples of ‘ㄱ’ palatalization and vowel fronting after the sibilant sounds, ‘ㅓ>ㅕ’ alternation.
한국어
이 연구는 小倉文庫本 居昌別曲의 자료적 특징 및 국어학적 특징을 고찰한 것이다. 먼저 小倉文庫本의 자료적 특징을 밝히기 위하여 필사자와 필사 시기에 대하여 고찰해 본 결과, 필사자는 조선어통사로 부산에 온 中村庄次郞으로, 필사 시기는 1873-1879년 사이로 추정하였다. 小倉文庫本은 타 이본들과 달리 가사를 통하여 한국어와 조선 역사․사회를 학습하고자 하였던 조선어통사의 한국어 학습 산물이며, 바로 이 점이 小倉文庫本만의 자료적 가치임을 드러냈다. 이어 小倉文庫本의 국어학적 특징을 한자 사용, 표기와 음운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小倉文庫本은 타 이본에 비해 한자의 노출 정도가 높은 편이었으나, 조선 역사와 사회에 대한 지식이 부족하여 한자 표기가 부정확한 예가 나타났다. 또한 조선어통사들의 자료에서 자주 보이는 표기 오류도 발견할 수 있었으며, ㄱ구개음화와 치찰음 뒤 전설모음화, ‘ㅓ:ㅕ’ 교체가 일어난 예를 살펴보았다.
목차
1. 서론
2. 자료적 특징
3. 국어학적 특징
4. 결론
참고문헌
[부록] <거창가> 이본 16종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