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일반논문

3.1운동과 심리 변화: 시험(test), 시련(trial)과 외상(Trauma) - 민족대표 박희도 변절의 심리적 전개 과정을 중심으로 -

원문정보

3.1 Movement and Psychological Transition: Test, Trial and Trauma - National Christian Leader Park, Hee-Do’s Process of Psychological Betrayal -

홍인종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As a Christian youth and a Korean nationalist leader, Park Hee-Do actively participated in the 3.1 Movement but then began a lengthy process of defection to the Japanese colonial authorities. Given his curious and perplexing decision, this study attempts to analyze his psychological change in three stages through Erikson’s psychosocial developmental theory and the formation of psychological trauma. The first stage(1889-1919)(idealistic practitioner) consist so fan idealistic period for Park Hee-Do. As a devout Christian, Park believed that Korean independence was preordained and actively pursued nonviolent methods in the Korean Liberation Movement. The second stage(1919 to 1934)(enlightened educationist) consists of a transitional period for Park, who faced hardships and the burdens of leadership. Facing Japanese oppression and the experience of imprisonment, Park transitioned into emphasizing education and enlightenment. The final stage(1934 to 1952)(realistic opportunist), consists of Park’s defection through an identity crisis and the formation of trauma. Park’s identity crisis via the traumatic event of imprisonment and his subsequent moral degeneration is explained by the sixth and seventh stages of Erikson’s psychosocial developmental theory, in which a lack of generativity leads to stagnation. Despite the psychological explanation of Park’s defection process, further research is necessary to answer why some overcome suffering through faith and others compromise faith and ideals to trauma.

한국어

기독교 청년 민족 대표로서 박희도는 희망을 품고 3.1운동에 적극 참여했다가 서서히 변절의 길로 들어선다. 그를 생각하면 안타깝고 화가 나고, 동시에 그 과정이 궁금하였다. 이에 변절의 심리적 단계(시험, 시련과외상 경험)에 관심을 갖고 에릭슨의 심리사회발달이론과 트라우마(심리적외상)의 전개과정을 중심으로 그의 삶을 3단계로 나누어서 분석하였다. 첫째는 기독교인으로서의 이상 추구기(1889-1919)(실천적 이상추구자)로써 조선의 독립은 하나님의 뜻이라 믿고, 비폭력적이며 평화적인 독립운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단계이다. 둘째는 지도자로서의 삶과 시련기(1919-1934)(교육적 계몽주의자)로 3.1운동 후 일제의 탄압과 수감생활등이 충격적 사건이 되어 적극적 투쟁보다는 교육과 계몽주의 노선으로 전환하는 단계이다. 마지막으로 트라우마로서의 변절기(1934-1952)(현실적기회주의자)로 충격사건을 재경험(재수감)하면서 정체성의 혼란과 트라우마를 형성케 되는 시기이다. 회피 반응이나 과각성 반응, 그리고 침윤적 기억으로 인한 충격사건의 재경험이 그의 희망과 신앙을 잠식하면서 심리적외상을 입어 점진적 친일로, 소극적 동조에서 적극적 지지로 변절의 길을걷게 된다. 충격사건으로 인한 박희도의 정체성 혼란은 에릭슨의 사회심리발달의 6~7단계에서 의미 있는 일을 실천하는 생산성을 포기하고, 자신의연약함과 일제의 회유와 압박으로 동기와 열정이 식어지면서 침체성에 빠져들어 결국은 윤리적 타락과 적극적 친일로 나아간다. 비록 정체성의 위기와 트라우마라는 관점에서 변절의 심리 전개과정을 이해한다고 해도 여전히 의문이 남는다. 왜, 어떻게, 무엇이 어떤 사람은 시련과 고통 가운데 믿음으로 견디며 살아갈 수 있었고, 또 어떤 사람은충격사건이 시련의 단계를 지나 트라우마가 되어 그의 삶과 신앙을 변절케 했는지에 대해서는 추후 연구과제일 수밖에 없다.

목차

논문 초록
I. 서론
II. 3.1운동 민족대표 33인 중 청년 박희도
III. 변절의 심리적 단계: 시험(Test), 시련(Trial)과 외상 경험(Trauma)
IV. 결론
참고 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홍인종 In Jong Hong. 장로회신학대학교 교수(실천신학/목회상담학)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