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일반논문

후기세속사회의 종교성과 탈종교성에 대한 공공신학적 연구

원문정보

A Study on the Religiosity and the Postreligiosity of ‘the Post-secular Society’ in the Public Theological Perspective

성석환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Globally, religion has re-emerged into the public sphere, and a certain awareness has been raised that today's religious landscape cannot be interpreted with a perspective of the theory of secularization. The rise of the religious unaffiliated in Europe, the United States, and South Korea at the same time, even though the decline of the institutional church, reflects the fact that the religiosity of civil society has never been weakened. Studies by Charles Taylor, Jose Casanova and Jurgen Habermas show that Christianity is a moral and ethical resource in the modern western world, so now is requested a new public role in responding to the changing religious landscape of the ‘postsecular society’. Christianity is facing a new missional challenge to participate in civil society forums and pursue ‘the common good.’ The rapid secularization or de-religionization of Korean society might be another aspect of de-secularization. Studies by religious sociologists have shown that the religiosity of Korean society has not been weakened by the increasing number of people who maintain their faith outside the institutional religion system and expect for the publicity of religion by them. Historic studies on the modern Korean religion provides a certain insight into the need for a public theological approach for the Korean Church in order to communicate with civil society and participate in public spheres, because a de-political modern religious concept as like the separation of State and Church, seemed to be originated from the period of Japanese colonial and then political dictatorship after gaining independence in 1948, has taken deeply root in main line Churches’ attitude. Rather than responding defensively to the decline in numbers and expanding institutional power, this article argues, participating in a public sphere in civil society to discuss the public and democratic development for ‘the common good’ should be a urgent missional task of Korean Church in response to the new religious landscape of post-secular Korean society.

한국어

전 지구적으로 종교가 공적 영역에 재등장하고 ‘세속화 이론’으로 오늘의 종교지형을 해석할 수 없다는 각성이 제기되었다. 유럽, 미국, 한국공히 세속화와 탈세속화가 동시에 진행되고 있으며, 제도권 교회의 쇠퇴와 대비되는 비종교인의 증가 현상은 시민사회의 종교성이 결코 약화되지않고 있다는 점을 반영한다. 찰스 테일러(Charles Taylor), 호세 카사노바(José Casavona), 유르겐 하버마스(Jürgen Habermas) 등의 연구는 이른바 ‘후기세속사회’의 종교담론이 근대 세계의 도덕적, 윤리적 자원으로서종교의 기원적 가치에 주목하고 서구의 변화된 종교지형에 대응하는 새로운 공적 역할을 요청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기독교는 시민사회의 공론장에참여해 ‘공동의 선’을 추구해야 하는 새로운 선교적 과제에 직면하고 있다. 한국사회에서 나타나는 급격한 세속화는 탈세속화의 또 다른 양상이다. 종교사회학자들의 연구에 의하면, 제도권 밖에서 나름의 신앙을 유지하는 이들이 늘어나고 있고, 종교의 공공성에 대한 기대가 고조되고 있다는 점에서 한국사회의 종교성은 약화되지 않고 있다. 식민지 시대와 해방후 독재 시대를 거치면서 ‘정교분리’와 같은 탈정치적 태도가 내면화된 한국교회는 시민사회와 이탈자로부터 공공성에 대한 요구를 받고 있다. 본연구는 한국교회가 시민사회와 소통하고 공론장에 참여하기 위해서는 공공신학적 접근방식이 필요하다는 통찰을 제공한다. 수적 감소 양상을 방어적으로 대응하고 제도적 세력을 확대하기보다는 ‘공동의 선’을 추구하며 한국사회의 공공성과 민주적 발전을 토론하는 시민사회의 공론장에 참여하는 것이 오늘 후기세속적 한국사회의 새로운 종교지형에 대응하는 선교적실천이 될 것이다.

목차

논문 초록
I. 들어가는 말
II. 후기세속사회의 지구적 다양성과 그 분석들
III. 후기세속사회의 종교의 공공성에 대한 재구성
IV. 후기세속사회와 기독교의 공적 실천
V. 결론
참고 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성석환 Suk Whan Sung. 장로회신학대학교 기독교와문화 조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