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Missional Tasks of the Church in the Hyper Era : Focusing on the Mutual Communication among Students, Parents, and Teachers
초록
영어
Today’s hyper-connected environment, which provides one with endless services, is forming a hyper-personalized culture that dismantles boundaries and maximizes individual happiness. Since it is mainly young adult children who have left the church,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status of mutual communication based on the cultural understanding of this hyper-era and to propose missional tasks for the church. This study surveyed participants including students(N=4,704), parents(N=1,501), and teachers(N=1,545) from a total of 18 churches. A semantic differential scale was developed by extracting the adjective groups to measure the co-orientation of “the church’s image.” Ranking and multi-choice questionnaires were produced and used to survey participants about “faith formation factors”
한국어
만물의 서비스화가 이루어지는 초연결 환경은 경계들을 해체시키고, 개인의 행복을 극대화하는 초개인화 된 문화를 형성해가고 있다. 이 연구는 교회로부터 이탈한 가족이 주로 자녀라는 점에 주목하여 초(超)시대의문화 이해를 토대로 상호적 소통 실태를 분석하고, 교회의 선교적 과제를제시하기 위한 것이다. 연구 참여자는 총 18개 교회의 학생(4,704명)과 부모(1,501명), 교사들(1,545명)이다. 상호지향성을 측정하기 위한 의미분별 척도는 ‘교회 이미지’에 대한 형용사군을 추출하여 개발하였고, ‘신앙형성 요인’과 ‘좋은 교사상’을 조사하기 위해 순위형과 다중응답형 문항을 각각 제작, 사용하였다. 교회 이미지에 대한 상호지향성 분석 결과는 학생들이 교사들보다 교회에 대해 더 긍정적 견해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활기찬’, ‘유연한’, ‘공평한’의 이미지들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고, ‘새로운’, ‘쌍방적인’, ‘모두 함께 어울리는’ 등이 낮게 나타났다. 그러나 교회 이미지에 대한 학생과 교사 간의 객관적 일치도와 주관적 일치도, 정확도에서 매우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교회에 대한 학생과 교사의 인식이 매우 다르고, 서로의 인식에 대한 추정 또한 매우 부정확하다는 것을 보여준다. 또한 자녀들의 신앙형성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친 요인은 주일예배이며, 세 집단 간의 객관적 일치도는 비교적 높게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좋은 교사상에 대한 세 집단 간의 객관적 일치도는 낮게 나타났다. 학생들은친절한 어른과 함께 간식 먹고 놀아주는 분을 가장 좋은 교사로 인식하였지만, 후자는 객관적 일치도가 가장 낮은 교사상으로 나타났다. 특히, ‘신앙의 모델’에 대한 학생 응답률은 부모 응답률에 비해 매우 낮았다. 이 연구는 교회 밖이 아닌, 교회 안의 학생, 부모, 그리고 교사 간의 상호적 소통에 천착하였다는 점에서 한계가 있다. 그러나 ‘신앙 없는 소속인들’ 뿐 아니라, ‘소속 없는 신앙인들’의 교회 이미지 개선 및 환대하는 신앙공동체 구축을 위한 실증적 자료를 제시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목차
Ⅰ. 들어가는 말
Ⅱ. 초시대의 문화와 상호적 소통
Ⅲ. 상호적 소통에 대한 조사방법
Ⅳ. 상호적 소통에 대한 분석결과
Ⅴ. 상호적 소통을 위한 교회의 선교적 과제
참고 문헌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