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연구논문

6차산업 체험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 성별의 차이를 포함하여 -

원문정보

Factors Affecting Intention to Experience of 6th Industry - Including Gender Differences -

정병규, 최양애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factors affecting the 6th industry experience by applying the extended push-pull-mooring model. The theoretical model is an extended PPM model that introduces new variables based on PPM. The pull factor of the newly introduced variables was reconstructed based on the SERVQUAL model. The dependent variable adopts recommendation intention and continuous use based on the customer loyalty model. The relationship between them were tested and the moderating role of gender in this process was tested. The research model of this study was tested by structural equation model based on 314 effective questionnaire data. The most significant factor affecting experience intention was the pull factor. Pull factor had a positive effect on experience intention. Push and mooring factors have a negative effect on experience intention. Experience intention had a positive effect on recommendation intention and continuous use. Male and female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pull and mooring factors. Push factor was analyzed to have a negative effect on experience intention only for women, and mooring factor had a negative effect on both men and women, but women were more affected than men. These results theoretically test that the mooring factors also have an important effect on the experience intention in the sixth industry experience. Based on the SERVQUAL introduced as a pull factor, the proposed extended PPM model proved to be a useful analysis framework. In practice, it was able to provide implications on what factors should be strategically and marketingly focused to activate the 6th industry experience.

한국어

본 연구의 목적은 6차산업 체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장된 PPM모델(extended push-pull-mooring model)을 적 용하여 탐색하는 것이다. 이론적인 모델은 PPM을 근간으로 하여 새로운 변수들을 도입한 확장된 PPM모델이다. 새롭 게 도입된 변수 중 pull요인은 SERVQUAL 모형을 바탕으로 재구성하였다. 종속변수는 고객 충성도 모형을 바탕으로 추천의향과 지속이용을 채택하였다. 선행 변수와 이들 간 영향 관계를 검정하였고 이 과정에서 성별의 조절 역할에 대해 검정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모형을 314개 설문데이터를 기반으로 하여 구조방정식으로 검정하였다. 연구결과 체 험의도에 영향을 가장 크게 미치는 요인은 pull요인으로 밝혀졌다. Pull요인은 체험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쳤다. Push요인과 mooring요인은 체험의도에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체험의도는 추천의향 및 지속이용에 정(+)의 영향을 미쳤다. 성별에 있어서 남성과 여성은 pull요인과 mooring요인에서 유의한 차이가 났다. Push요인은 여성에게만 체험의도에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mooring요인의 경우 남성과 여성 모두에게 부(-) 의 영향을 미쳤지만, 여성이 남성보다 더 영향을 받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이론적으로는 6차산업 체험에 있어서 기존의 pull, push요인 위주의 분석에서 나아가 mooring 요인도 체험의도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검정하였다. Pull요인으로 도입된 SERVQUAL을 바탕으로 제안된 확장된 PPM모델이 유용한 분석의 틀이 될 수 있음을 검정하였다. 실무적으로는 6차산업 체험을 활성화하기 위해 어떠한 요소에 전략적으로나 마케팅적으로 집중 해야 하는지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었다.

목차

국문초록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및 연구모형 개발
2.1 PPM과 확장된 PPM
2.2 6차산업 체험
2.3 연구모형과 가설설정
Ⅲ. 연구방법
3.1 설문 설계 및 조사
3.2 응답자 특성
3.3 확인적 요인분석 및 구조방정식 모델 적합도 검정기준
Ⅳ. 연구결과
4.1 확인적 요인 및 구조방정식 모델 적합도 검정 결과
4.2 가설검정 결과
4.3 논의
Ⅴ. 결론
5.1 이론적 시사점
5.2 기업경영에 대한 실무적 시사점
5.3 연구한계 및 향후 연구 방향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정병규 Chung, Byoung-Gyu. 남서울대학교 교수
  • 최양애 Choi, Yang-Ae. 호서대학교 벤처혁신연구소 책임연구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5,8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