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긍정심리자본이 혁신행동과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 조직지원인식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원문정보

The Effects of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and Innovative Behavior on Job Performance : Focused on the Moderating Effect of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박태운, 김문중

피인용수 : 2(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aims to analyze how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and innovative behavior affect job performance; and focuses on the moderating effect of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between innovative behavior and job performance. Through an empirical analysis for companies in domestic financial industry, public enterprises and ICT service-related enterprises, it proved that the 4 sub-components of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as individual positive psychological resources such as self-efficacy, hope, optimism and resilience as positive psychological resources of individuals have positive influence to innovation behaviors and job performance. In addition, innovative behavior which seeks and embraces new things has a positive influence on job performance through individual psychological capital. And, this analysis result proved 4 sub-components of innovative behavior have mediating effect between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and job performance and this result indicates that the innovative behavior is important mediating variable between two variables. Also, analysis result proved that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has moderating effect between innovative behavior and job performance. These results has confirmed that the complex interactive relationship has an influence on the job performance based on the individual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the innovative behavior, and the member’s trust in the organization. Moreover, this study shed light on the importance of organizational support that can affect the perception of members to rewards in order to improve job performance.

한국어

본 연구는 긍정심리자본과 혁신행동이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과, 혁신행동이 긍정심리자본과 직 무성과 사이에서 매개효과가 있는지, 혁신행동과 직무성과 사이에 조직지원인식의 조절효과를 검증 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국내 금융업 및 공기업과 IT 관련 서비스 기업을 대상으로 실증분석을 통해 긍정심리자본의 4가 지 하위요소인 자기효능감, 희망, 낙관주의, 복원력은 개인의 긍정적인 심리적 자원으로써 혁신행동 과 직무성과에 모두 정(+)의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또한 새로운 것에 대한 추구와 적 극적 수용을 의미하는 혁신행동 또한 개인의 심리자본을 통해 직무성과에 정(+)의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긍정심리자본과 직무성과 간 혁신행동의 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 긍 정심리자본의 4가지 하위요소 모두가 직무성과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혁신행동이 긍정심리자본과 직무성과 간에서 매개변수로써 중요한 변수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혁신행동과 직 무성과 간의 조직지원인식의 조절효과를 검증한 결과에서도 조직구성원이 혁신행동을 함에 있어서 조직지원인식은 혁신행동과 직무성과 간의 관계를 조절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개인의 긍정심리자본과 혁신행동, 그리고 구성원의 신뢰를 바탕으로 한, 조직 지원인식 간의 복합적 상호관계가 직무성과에 영향을 미치고 있음이 확인되었으며, 이는 구성원들 의 긍정심리자본이 직무성과로 이어지기 위해서는 조직구성원들 사이에 혁신행동과 조직으로부터 보상과 지원을 받고 있음을 의미하는 조직지원인식의 이루어져야 함을 알 수 있었다.

목차

초록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과 선행연구
1. 긍정심리자본(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2. 혁신행동(Innovative Behavior)
3. 조직지원인식(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4. 직무성과(Job Performance)
Ⅲ. 연구설계
1. 연구모형
2. 연구가설
3. 연구방법
Ⅳ. 실증분석 결과
1. 표본의 특성
2. 탐색적 요인분석
3. 구성 개념 간 상관관계 분석
4. 확인적 요인분석
5. 긍정심리자본, 혁신행동, 직무성과 간 경로분석
Ⅴ.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박태운 Tae-Oun Park. 가천대학교 대학원 경영학과 박사과정
  • 김문중 Moon-Jung Kim. 가천대학교 경영학과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7,6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