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공예

울산 영축사지 출토 불교공예품의 제작시기와 성격

원문정보

The Production Time and Characteristic of the Buddhist Crafts excavated at Yeongchuksa Temple site, Ulsan

이용진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In 2015, the fourth excavation of the Yeongchuk Temple site in Yuli, Ulsan, found bronze incense burner, bronze bowl and bronze rice steamer. The steamer functioned as an external container, and there were a bronze bowl and a bronze triangular censer. Since the 1980s, Buddhist artifacts have been unearthed from many temple sites including the Unified Silla and Goryeo periods, and these crafts were buried in the ground according to the regular rules. The way to bury the earth overlays the small vessels that can be laid in the outer containers, and the other vessels on top of them. Such a method is confirmed in Buddhist artifacts of excavated from Ingaksa temple site of Unification Shilla, and it can be seen that it lasted from Unification Silla to Koryo. It is believed that Buddhist artifacts excavated from Yeongchuksa temple site were produced in the first half of the 11th century and around the 12th century. In the case of the bronze incense with three legs, it can be seen as the first half of the 11th century as a transitional vessel type to Goryeo Hwanwan. The bronze bowl may have been a bronze incense burner with a lid or bronze bowl with a lid, and it is believed to have been made from the first half of the 11th century to the first half of the 12th century. It was confirmed that the bronze rice steamer had the same coupling method of the handles through comparison with the excavation materials from the Sanoesa temple site and Chungundong. Bronze bowls from Yeongchuksa temple, Chungundong, Sanoesa temple site were found to have intentionally modified parts of the foot. In addition, Buddhist artifacts excavated from Yeongchuksa temple site, Sanoesa temple site, Gulbulsa temple site, and Hwaeomsa temple site included bronze incense burner and bronze incense with three legs, which can be seen during the transition to Goryeo Hwangwan.

한국어

2015년 울산 율리 영축사지 4차 발굴에서는 청동삼족향로와 청동완, 청동시루 등이 발견되었다. 청동시루가 외용기의 역할을 하며, 그 안에는 청동완과 청동삼 족향로가 들어 있었다. 1980년대 이후 현재까지 수많은 사찰터에서 통일신라와 고려시대의 불교공예품이 출토되었는데, 이들 공예품들은 일정한 규칙에 따라 땅속에 매납되었다. 매납 방식은 외용기 안에 포갤 수 있는 작은 기명들을 중첩하고, 그 위로 다른 기명들은 쌓는 방식을 따르고 있다. 이와 같은 방식은 인각사지 출토 통일신라의 불교공예품에서 확인되고 있어 통일신라시대부터 고려시대까지 지속되었음을 알 수 있다. 영축사지 불교공예품들은 11세기전반에서 12세기경에 제작된 것으로 추정 되는데, 청동삼족향로의 경우 고려 향완으로 이행하는 과도기적 기형으로 11세기 전반으로 볼 수 있다. 청동완은 뚜껑 있는 청동향로나 청동합이었을 가능성이 있으며, 사뇌사지 청동향로의 편년을 참고로 11세기전반에서 12세기 전반에 제작된 것으로 추정된다. 청동시루는 사뇌사지나 춘궁동 출토품과의 비교를 통해 손잡이의 결합방식이 같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영축사지 출토 청동완을 비롯해 하남 춘궁동 출토 청동완, 서울 도봉서원 출토 청동완은 윤형굽의 일부를 의도적으로 변형시킨 것을 확인할 수 있어 사찰터에서 출토된 고려시대 불교공예품은 일정한 과정을 거쳐 매납한 것으로 생각되며, 그것이 진단구일지 퇴장유물일지 아니면 불교공예품의 폐기와 관련된 것일지는 보다 깊은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영축사지 불교공예품을 비롯해 청주 사뇌사지, 경주 굴불사지, 완주 화엄사지 등에서 출토된 불교공예품들에는 고려시대 향완으로 이행하는 과정에서 볼 수 있는 청동향로와 청동삼족향로 등이 11세기에서 12세기에 제작된 香具들이 출토되는 것도 특징이다.

목차

Ⅰ. 머리말
Ⅱ. 영축사지 출토 불교공예품의 현황과 매납방식
1. 영축사지 출토 불교공예품의 현황
2. 영축사지 출토 불교공예품의 매납 방식
Ⅲ. 영축사지 출토 불교공예품의 제작시기
1. 청동삼족향로
2. 청동완
3. 청동시루
Ⅳ. 영축사지 출토 불교공예품의 성격
Ⅴ. 맺음말
참고문헌
국문초록
Abstract

저자정보

  • 이용진 Lee, Yong-Jin. 국립청주박물관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5,2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