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공예

한국 복장(腹藏)에 수용된 포자법(布字法)의 전개와 특징

원문정보

Development and Characteristics of the Pojabeop Meditation Embedded in the Votive Objects from Korean Buddhist Sculpture

이선용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Following the aniconism period, anthropomorphic representations of Śākyamuni Buddha began to be sculpted around the firstcentury C.E. in the Gandhara and Mathura regions. Similarly to pagodas, Buddhist sculptures enshrined sacred objects, including physical relics found in the cremated remains of the Buddha and relics of the dharma that he left behind as his incorporeal legacy, thus embodying sacredness and Buddhist ideology. The structure of the enshrined relics changed along with the underlying ideology and varied by country. Regardless, the ultimate objective of these enshrined relics was to religiously vivify the image in question. In this paper, I aim to examine the ideological backgrounds reflected by the objects placed inside Korean Buddhist sculptures. In Korea, palyeoptong(八葉筒, eight-petaled containers) and huryeongtong (喉鈴筒, containers with a tube) were considered the actual heart of a Buddhist sculpture and vivified the image. The process of enshrinement of these objects was called bokjang(腹藏) in Korean. Palyeoptong and huryeongtong were inserted a round double-sided mirror(兩面圓鏡), Five-Wheels Seed Syllables(五輪種子), and True-Mind Seed Syllables(眞心種子) all of which embodied the pojabeop(布字法), a meditation of middle Esoteric Buddhism performed by a practitioner visualizing seed syllables covering his body and meditating on their esoteric meanings. Therefore, the pojabeop Esoteric Buddhism meditation method from the Goryeo period became established as an element of Buddhist enshrinement rituals unique to Korea. During the Joseon Dynasty, pojabeop were perceived to carry seed syllables for a consecration ceremony called eye-opening(點眼) for a Buddhist image in several Buddhist ritual manuals and Josang gyeong(造像經, Sūtra on Making Images). It was disseminated through these means. Thus, Joseon Dynasty bokjang developed differently from their Goryeo Dynasty counterparts. Moreover, pojabeop absorbed by bokjang and jeoman came to provide an ideological basis for the enshrinement of relics that became sacred objects of religious belief.

한국어

석가모니부처님 열반 후 종교와 신앙의 대상은 탑이었다. 무불상시대가 지나 간다라와 마투라지역에서 석가모니부처님의 모습을 투영한 조각상이 건립되면서 탑과 마찬가지로 신사리와 법사리를 봉안함으로써 신성성과 사상성을 완성하고자 하였다. 사리봉안의 형식은 중국과 일본에서 장장(裝藏)과 납입(納入)이라 정의되면서 <오장(五臟)>, <오륜탑형사리기(五輪塔形舍利器)> 등을 안립하는 형식으로 점차 변화되었다. 한국은 <팔엽통(八葉筒)>과 <후령통(喉鈴筒)>을 심장으로 간주하고 이를 통해 생명력을 부여하고자 하였으며, 이를 복장(腹藏)으로 정의 하였다. 그러나 한국의 복장에서 <팔엽통>과 <후령통>이 심장으로 환원될 수 있었던 것은 수행자가 자신의 몸에 범자를 안포하여 관상(觀想)하는 밀교의 포자법(布字法)을 수용한 <양면원경>, <오륜종자>, <진심종자>를 안립하였기 때문이다. 이로써 포자법은 더 이상 『대일경(大日經)』을 기반으로 전개된 중기밀교의 사상을 반영한 밀교의 관법(觀法)이 아닌 한국 고유의 형식과 물목으로 변화된 불교의식의 요소로 정립되었음을 알 수 있다. 이후 포자법은 조선시대 여러 의식집과 『조상경(造像經)』에 점안범자로 수용ㆍ확산되어 고려시대 복장과는 다른 형식으로 전개되었다. 이처럼 복장의식과 점안의식으로 수용된 포자법은 종교와 신앙의 성물(聖物)로 환원될 수 있는 사상적 기초가 되었다.

목차

Ⅰ. 머리말
Ⅱ. 『조상경(造像經)』에 수용된 밀교경전의 포자법(布字法)
Ⅲ. 고려시대 복장(腹藏)의 포자법(布字法) 수용과 생명력 구현
Ⅳ. 조선시대 포자법(布字法)의 확산과 전개
Ⅴ. 맺음말
참고문헌
국문초록
Abstract

저자정보

  • 이선용 Lee, Sun-Yong. 위덕대학교 밀교문화연구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1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