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회화·사경

부여 무량사 극락전 아미타삼존후불도 연구

원문정보

A Study of the Amitābha Triad Statue-backing Paintings in Geungnakjeon Hall at Muryangsa Temple, Buyeo

이승희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Geungnakjeon Hall at Muryangsa Temple in Buyeo, rebuilt in 1623, has a two-story external structure and single, open-floor internal structure. It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multi-story buildings of the late Joseon period. Inside the hall are a clay Amitābha triad produced in 1633 and statue-backing Amitābha paintings dating from 1747, all in their original condition. The hanging Buddha paintings in the hall are outstanding works, rendered in light colors and comprising three panels. Created to fit the height of the hall’s two-story interior, they hang on the wall behind the Buddha statues. With a height of almost eight meters, it is the largest extant example of a Buddha statue-backing painting. It is highly significant in that it is the only three-panel statue-backing painting to depict an Amitābha triad, a unique subject; most other such works depict the Buddhas of the Three Realms (samsebul; 三世佛) or the Three Bodies of Buddha (samsinbul; 三身佛). Large Buddha statue-backing paintings were first produced in earnest in the early 18th century; large Buddha painting techniques had already been perfected in the 17th century through the production of hanging paintings for use in outdoor rituals nationwide. Leading late-Joseon painter-monk Uigyeom was highly experienced in this genre, having produced five hanging Buddha paintings and three sets of three-panel statue-backing paintings. The leading painter-monk in the production of the hanging Buddha painting in Geungnakjeon Hall at Muryangsa Temple was Hoemil, who worked with Uigyeom for some 20 years. Although Uigyeom is not mentioned in any inscriptions on the Muryangsa Geungnakjeon paintings, they can be seen as works that incorporate the technical skills that he attained in the production of large Buddhist paintings. His painting style can be strongly felt in the composition, expressive techniques and forms of the Amitābha triad, indicating that Hoemil directly inherited Uigyeom’s style. The Muryangsa Geungnakjeon hanging Buddha paintings are significant for their prominent display of technical skill used to produce large Buddha paintings of this kind; for their rarity as three large Amitābha backing paintings; and for the way they demonstrate the outstanding painting style of Uigyeom’s group of painter-monks. Their excellent style can be seen as the best example of Buddhist painting in the mid-18th century.

한국어

부여 무량사 극락전은 1623년에 재건된 2층의 통층 건물로서 조선후기를 대표하는 중층건물이다. 내부에는 1633년 소조아미타삼존불상과 1747년 아미타후불도가 조성 당시의 원형 그대로 잘 보전되어있다. <무량사극락전후불탱>은 매우 우수한 작풍을 지닌 담채풍의 불화로서 2층의 전각 규모에 맞게 3폭으로 제작되어 후불벽에 걸려 있다. 높이가 8m에 육박하여 현전하는 대형 후불도 가운데서도 가장 큰 규모이다. 특히 조선후기 3폭의 대형 후불도들이 대부분 삼세불도 혹은 삼신불도 인데 비해 무량사 극락전에 봉안된 이 불화는 유일하게 아미타삼존도라는 점에서 매우 큰 의미가 있다. 대형의 후불도 제작이 본격화된 것은 18세기 전반으로, 17세기 야외의식용 괘불이 전국적으로 조성되면서 대형불화를 제작할 수 있는 기술이 원숙한 경지에 이르렀다. 조선후기의 대표적인 화승인 의겸은 괘불을 5점, 3폭 후불도를 3세트나 제작할 정도로 대형불화의 제작경험이 풍부하였다. <무량사극락전후불탱>을 조성한 수화승은 회밀로서 의겸의 말년까지 약 20여 년간을 함께 작업했던 인물이다. 비록 화기 상에 의겸이 드러나지는 않지만 무량사 후불도는 의겸이 이룩한 대형불화 제작의 기술력이 집약된 불화라고 할 수 있으며, 아미타삼존불도의 화면구도나 표현기법, 형상 등에서 의겸화풍이 강하게 감지되어 회밀이 의겸의 화풍을 정통으로 계승하였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무량사극락전후불탱>은 괘불과 같은 대형불화의 기술력이 돋보인다는 점, 3탱으로 이루어진 대형 아미타후불도라는 희귀성, 그리고 의겸파화승들의 우수한 제작 스타일을 보여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으며 그 우수한 화풍은 18세기 중반 불화를 대표할 만하다.

목차

Ⅰ. 머리말
Ⅱ. 아미타삼존후불도의 조성과 봉안
1. 불화의 현황과 도상
2. 의겸파 화승의 제작
Ⅲ. 봉안과 용척에 의한 제작과정
1. 전각 및 불상과의 관계
2. 용척에 의한 제작과정
Ⅳ. 맺음말
참고문헌
국문초록
Abstract

저자정보

  • 이승희 Lee, Seung-Hee. 덕성여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