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회화·사경

한국의 사찰벽화 : 시대별 장엄요소와 표현 영역

원문정보

Mural Paintings of the Korean Buddhist Temples - Decorating elements and expressional realms from different time periods

박은경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Decorating the Buddhist halls is one of the representative ways to materialize the Buddha's land. The Buddhist mural painting, same as the Buddhist temple, is an important visual heritage in that it can identify the history, character, and the intention of decorating buildings. In the ancient Three Kingdoms and the Unified Silla period, the themes of Buddhist mural paintings were focused mainly on the Jataka and stories about the Nidana. These topics seems to changed to the images of Buddhas or paintings for worship in the late 7th and early 8th century. In the medieval Goryeo Dynasty, large numbers of high quality Buddhist murals were painted. However, mural paintings of Brahma, Indra Sakra and the Four Devas in the Chosa-hall at the Pusok temple are the only and the best examples that of the Goryeo Dynasty. Around 14the century, it is presumed that the center of decorating Buddhist halls gradually moved from the mural painting to the hanger painting. In the Joseon Dynasty, Buddha's figures for worship were depicted on the main wall, left and right side walls of the main Buddhist hall. There were the examples in which Avalokitesvara Bodhisattva by itself or Avalokitesvara Bodhisattva and Dharma together were painted on the back of the main wall. Moreover, various themes such as Buddha, Buddhist buildings, folk tales, etc. were painted on the walls in the Buddhist halls. On the other hand, in terms of the expressional realm of the Buddhist murals in the Joseon Dynasty, there were the principle of arranging the icons and layout according to the vertical and horizontal structures of the wall in all directions applies to the Buddhist sanctum. First, Buddha or Bodhisattva were mainly painted on the main wall in the Buddhist sanctum for the purpose of worship. On the back of the main wall, Avalokitesvara Bodhisattva by itself or Avalokitesvara Bodhisattva and Dharma together were depicted on the back of the main wall(total thirteen works). However, there are some factors to consider as a reason to depict the Avalokitesvara Bodhisattva murals the back wall of the main wall corresponding to the Buddhist sanctum. 1)The Avalokitesvara Bodhisattva is a symbolic representation of a figure who sees the darkness and breaks the world of darkness and unknown. 2)The back of the main wall is the narrowest and darkest place in the Buddhist hall that connects to the image of the dark cave, main residence of Avalokitesvara Bodhisattva in the The Heritage of the Three States. Therefore, the darkest space behind the main wall is a spatial device for expressing the dark cave. In addition, the way the walls are finished with black color or adding colors on the dark colored walls were visual devices for expressing the darkest cave. Second, the arrangement area according to the vertical structure and the horizontal structure of each Buddhist hall need thorough reviews. The vertical structure is an example of showing the hierarchy of the superiority. On the other hand, the horizontal structure is a way of horizontally arranging or displaying the equal hierarchical position. It seems that it is effective for the narrative paintings expressing many stories in compressed time as well as for paintings of the multi-Buddhas.

한국어

벽화는 현실세계에 불국토를 구현하는 대표적 불전장엄 중의 하나이다. 또한 벽화는 사찰과 함께 건물의 역사나 성격, 장엄의도를 파악할 수 있다는 점에서 중요한 시각유산이기도 하다. 고대 삼국 및 통일신라의 사찰벽화는 인연설화도나 본생도 중심이었을 것이며, 적어도 7세기 말에서 8세기 경에는 불보살 중심의 존상화나 예배화로 변화되었을 것으로 본다. 그리고 중세 고려시대에는 화격이 높은 불화가 상당수 제작되었으나, 벽화는 부석사 조사당의 범․제석천 및 사천왕 벽화가 현존 최고의 사례이자 유일한 사례라 할 수 있다. 14세기 후반 경에는 불전 회화는 벽화보다 탱화로 점차 바뀌었을 것으로 본다. 조선시대에는 주요 불전의 후불벽과 좌우측벽에는 예배대상격의 존상화가 그려졌고, 후불벽의 뒷면 벽면에는 관음보살, 혹은 관음․달마가 그려진 장엄벽화 사례가 등장한다. 게다가 전각내 포벽과 상벽에는 여래도, 불전도, 고사인물도, 서수도 외에 민화 장르에 속하는 다양한 도상들이 그려져 그 내용이 풍부해졌다. 한편 조선시대 사찰벽화의 표현 영역은 불전 중앙의 내진영역(불단영역)을 중심으로, 사방벽면의 수직과 수평구조에 따른 도상 배치에 일련의 원리가 작용한다. 먼저, 주불전의 내진영역에 설치된 후불벽에는 불보살상 중심의 불회도가 그려졌고, 후불벽의 뒷면에는 관음, 혹은 관음․달마 벽화가 그려졌다.(총 13점) 특히 내진영역의 공간인 후불벽 뒷면에 관음벽화를 그린 이유에 대해서는 다음과 같은 점을 주목할 수 있다. ① 후불벽 뒷면에 그려진 관음은 어두운 곳을 관(觀)하며, 중생들의 암흑과 무명(無明)의 세계를 깨뜨리는 모습을 지닌 여래자로서의 상징적 의미를 갖는다. ② 후불벽 뒷면은 불전 내에서 가장 좁고 어두운 공간이다. 삼국유사에서 언급한 관음의 주처 공간인 암굴(暗窟)의 이미지와 상통한다. 따라서 불전내 가장 어두운 후불벽 뒷벽 공간은 어두운 곳을 관(觀)하는 관음을 표현하기 위한 공간적 장치라 할 수 있다. 더욱이 관음벽화의 바탕벽체를 어두운 설채로 마감한 사례는 암굴을 표현하기 위한 보다 적극적인 시각적 장치라 할 수 있다. 다음 수직구조에 따른 상하영역과 수평구조에 따른 배열 영역은 전각별 전면 검토가 필요하다. 수직구도는 존상의 상하 위계를 나타낸 사례이며, 수평구조는 동등한 위계를 수평적으로 배열하거나 전개하는 방식으로, 이야기꺼리를 품고 있되 시간을 압축하여 전개하는 설화도나 다불도의 전개에 유효하게 작용한다.

목차

Ⅰ. 머리말
Ⅱ. 사찰벽화의 시대별 장엄 요소
1. 고대 사찰벽화
2. 중세 사찰벽화
Ⅲ. 조선시대 사찰벽화의 표현 영역
1. 주불전의 내진 영역
2. 수직구조에 따른 상하영역
3. 수평구조에 따른 배열 영역
Ⅳ. 맺음말-벽화의 가치와 의의
참고문헌
국문초록
Abstract

저자정보

  • 박은경 Park, Eun-Kyung. 동아대학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6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