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조각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유리건판의 華藏寺 指空和尙坐像에 대한 고찰

원문정보

A Study on the Dry Plate Photograph of the Seated Portrait Sculpture of Master Sunyadisya at Hwajangsa Temple in the Collection of the National Museum of Korea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유리건판의 화장사 지공화상좌상에 대한 고찰

허형욱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National Museum of Korea houses a great number of dry plate photographs taken during the period of Japanese colonial rule, including a photo of a sculpture of the Indian monk Sunyadisya (or Dhyanabhadra; Korean, Jigong) who propagated Buddhism in the early and middle fourteenth century during the Yuan Dynasty in China and the Goryeo Dynasty in Korea. When this photo was taken around 1917, the sculpture was enshrined at Hwajangsa Temple on Bobongsan Mountain in Jangdan-gun, Gyeonggi-do Province (in the present-day North Korean region). Since very few portrait sculptures of Buddhist monks survive in Korea, this photograph provides an invaluable archival source for studying relatively early seated sculptures of Master Sunyadisya. This paper infers the production date and background of the seated portrait sculpture of Master Sunyadisya at Hwajangsa Temple and examines the establishment and development of the related iconography. In 1326, Master Sunyadisya departed Yuan China for Goryeo. For two years and seven months, he spread Buddhist teachings among the people he met there, and came to exert considerable influence. He died in Yuan China in 1363, and in the following year his body was mummified by layering it with incense, lacquer, mud, and cloth. The mummy was cremated in 1368 and some of the ashes were sent to Goryeo. In 1372, Naong Hyegeun (1320– 1376), a favorite disciple of Master Sunyadisya, enshrined his ashes in a stupa at Hoeamsa Temple in Yangju, Gyeonggi-do Province. In 1393, Muhak Jacho (1327–1405), a disciple of Hyegeun, produced another stupa for Master Sunyadisya at Hwajangsa Temple. In this paper, I suggest two conjectures on the production date and background of the portrait sculpture of Master Sunyadisya at Hwajangsa Temple. First, the sculpture may have been created by disciples of Naong under the sponsorship of the royal family around 1385 at the end of the Goryeo period. Alternatively, it may have been created in the early years of the Joseon Dynasty when Muhak Jacho commissioned the production of a stupa for Master Sunyadisya at Hwajangsa in 1393. Either way, descendants of Master Sunyadisya are presumed to have participated in the creation of his portrait sculpture in the late fourteenth century. Iconographically, the crown on his head, long beard and eyebrows, and robe embellished with colorful patterns characterize this seated portrait sculptures of Master Sunyadisya at Hwajangsa Temple. According to records, Sunyadisya, a native of India, had an exotic look with dark skin and blue eyes. He was known in his later years to have grown his hair and mustache and prefer luxurious outfits like a secular person. These features are partially reflected in the seated portrait sculpture of Master Sunyadisya at Hwajangsa. The iconography of Sunyadisya in his portrait sculpture is maintained during the Joseon Dynasty in portrait paintings of Sunyadisya from the set of portrait paintings of the three masters Sunyadisya, Naong, and Muhak. Therefore, the dry plate photograph of the seated portrait sculpture of Master Sunyadisya at Hwajangsa Temple is of great significance in that it shows the early iconography of Sunyadisya from the late Goryeo or early Joseon periods as documented in literary records.

한국어

국립중앙박물관이 소장한 일제강점기의 유리건판 중에는 14세기 전․중반에 元과 고려에서 활동한 인도 출신의 指空和尙 조각상을 찍은 사진이 전한다. 이 상은 1917년경 촬영 당시 경기도 장단군 보봉산(현재 북한 지역)에 위치한 華藏寺의 寂默堂에 있었다. 그러나 이 절은 한국전쟁 때 거의 다 불타버려 상의 현존 여부는 알 수 없다. 승려의 초상조각이 많이 남아있지않은 우리나라에서 화장사 지공좌상의 유리건판은 비교적 시기가 올라가는 예를 찍은 자료로서 가치가 크다. 본고에서는 화장사 지공좌상의 제작시기와 조성배경을 추론하고, 지공 도상의 성립과 계승 양상을 살펴보았다. 지공은 1326년(충숙왕 13) 3월 元에서 고려로 와서 약 2년 7개월 간 가르침을 펼쳤으며 여말선초의 불교계에 큰 영향을 끼쳤다. 1363년 11월 원의 大都에서 입적한 지공은 이듬해 그의 시신에 香, 漆, 진흙, 布 등의 재료가 입혀져 일종의 미이라상으로 만들어졌다. 지공의 미이라상은 1368년 火葬되어 일부가 고려로 전해졌다. 지공의 유해는 그의 수제자인 나옹 혜근(1320-1376)에 의해 1372년(공민왕 21) 회암사 부도에 안치되었다. 이후 1393년에는 혜근의 제자인 무학 자초 (1327-1405)에 의해 화장사에도 지공의 부도가 세워졌다. 화장사 지공좌상은 양식적으로 조선 후기의 도식화된 僧形像들과 구별되며, 제작시기는 조선 전기 이전으로 볼 수 있다. 조성배경에는 두 가지 가능성이 있다. 첫째는 고려 말인 1385년(우왕 11)경 왕실 후원 아래 나옹 문도의 주도로 만들어졌을 가능성이고, 둘째는 조선 초 1393년(태조 2) 무학 자초가 화장사에서 지공 부도를 세울 즈음 함께 제작되었을 가능성이다. 어느 경우든 지공의 法孫들이 관여하여 그를 현창하고자 만든 것으로 생각된다. 화장사 지공좌상은 머리에 쓴 보관, 긴 눈썹과 수염, 화려한 문양의 복식 등이 도상적 특징이다. 관련 기록에 따르면, 지공은 인도 출신답게 피부가 검고 눈이 푸른 이국적인 용모를 지녔으며, 만년에는 머리와 수염을 기르고 俗人의 사치스런 옷을 입었다고 한다. 지공의 이러한 특징적 외모는 지공 도상의 조형적 근거가 되어 화장사 지공좌상에도 반영되었다. 조선시대에는 지공-나옹-무학이 함께 등장하는 三和尙 진영이 다수 그려졌다. 현존하는 조선 후기 삼화상 진영 속의 지공상에서도 화장사 지공좌상의 도상적 요소들이 공통적으로 보인다. 그러므로 화장사 지공좌상의 도상은 훗날 삼화상 진영 속의 지공상으로 계승되었다고 할 수 있다. 국립중앙박물관 유리건판의 화장사 지공좌상은 문헌기록 위주로 전하는 여말선초 지공 도상의 초기 모습을 구체적으로 보여준다는 점에서 그 의의를 찾을 수 있다.

목차

I. 머리말
II. 지공화상의 생애와 사후 추모사업
1. 행적과 성격
2. 입적 후 像과 부도의 조성
Ⅲ. 화장사 지공화상좌상 관련 기록의 검토
1. 조선시대의 봉안 상황
2. 조성 시기와 배경
Ⅳ. 지공화상 도상의 특징과 계승
Ⅴ. 맺음말
참고문헌
국문초록
Abstract

저자정보

  • 허형욱 Huh(Heo), Hyeong-Uk. 국립중앙박물관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6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