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한중 및 동아시아 인문학

한사오궁 소설에 나타난 신화의 현재적 의미 고찰 - 반고, 형천신화를 중심으로

원문정보

Study on Temporary Meaning of Myth Demonstrated on Han Shaogong’s Novel - Focusing on Pangu and Xingtian Myths

강윤형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Among Chinese myths on the creation of the world, this study aims to examine imagery aspects of Pangu (盤古) myth and Xingtian (刑天) myth embodied upon Han Shaogong (韓少功) novel and consequently to consider temporary meaning within these myths. His works of Bababa (爸爸爸) and NüNüNü (女女女) evaluated as representative novels for his fundamental describe two myths respectively; one is Pangu myth and the other is Xingtian myth. Pangu myth is one of Chinese myths on the creation of the world and the most frequently told on ancient literatures and among different ethnic minorities and it is embodied as an elegy on the novel NüNüNü. The other one, Xingtian myth is described as ancestral god of chicken-headed people on the novel Bababa. Pangu myth sung as an elegy reveals Taoist faith view that does not divide but rather regards life and death as a kind of change and consequently, it shows an idea of spirit within everything (萬物有靈) lying among ethnic minorities in southern region and Chuang-tzu’s thinking of life and death being one (生死如一). On the other novel Bababa, Xingtian is rather transformed into god of world creation on Pangu myth and depicted differently from contents of the original myth. This transformation on Xingtian shows how Han Shaogong understands myths; he views myths not as something fixed but as product of the age whose meanings or contents are transformed depending on different recipients. To find meanings inherent in myth, a product of the age, and its transformation demonstrates myth with vitality that is still applied to Xiangchu (湘楚) people in Hunan province beyond merely a new interpretation of myths at the present time.

한국어

본문은 중국의 창세신화 중 반고(盤古)신화, 형천(刑天)신화가 한사오궁(韓少功) 소설 속 에서 형상화된 양상을 살펴보고 이들 신화에 담긴 현재적 의미를 고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 였다. 한사오궁 소설들 중 대표적 심근소설로 평가되고 있는 爸爸爸, 女女女에는 두 편의 신화가 각각 묘사되어 있는데, 하나는 반고신화이며 다른 하나는 형천신화이다. 반고신화는 중국을 대표하는 창세신화 중 하나로 고대문헌이나 여러 소수민족들 사이에서 가장 널리 구 술되는 신화로 소설 女女女에서 만가(輓歌)로 형상화되고 있으며, 또 다른 형천신화는 爸 爸爸에서 닭머리 사람들의 조상신으로 그려진다. 이때 女女女에서 만가로 부르는 반고신 화는 생과 사를 단절이 아닌 일종의 변화로 보는 莊子의 생사여일(生死如一)의 사고를 드 러내며 이는 남방 소수민족들의 만물유령(萬物有靈)의 사유와도 상통한다. 다른 소설 爸爸 爸에서 형천은 기존 문헌신화와는 다르게 오히려 반고신화와 같은 창세신의 모습으로 변형 되어 나타난다. 형천의 이러한 변형에서 한사오궁이 신화를 이해하는 방식을 보면, 그는 신화 를 고정된 것이 아니라 이를 수용하는 대상에 따라 의미나 내용이 변형되는 시대적 산물로 보고 있다. 시대적 산물인 신화에 내재된 의미 찾기나 변형은 단순히 신화를 현재에서 새롭게 해석하는 것을 넘어서 이 시대에도 여전히 후난(湖南)의 샹추(湘楚)인들에게 작용하고 있는 생명력을 가진 신화의 현재성을 보여주는 것이다.

목차

국문요약
1. 서론
2. 소설 속에 나타난 두 신화
1) 창세에서 죽음까지:반고신화
2) 시조신으로 변형된 형천
3) 소설 속 신화의 현재적 의미
3.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강윤형 Kang, YunHyung. 전북대학교 중어중문학과, 무형유산정보학과 박사 수료생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1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