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재일조선인 문학과 일본문학의 관계성 재정립 - 김학영(金鶴泳)의 「끌(鑿)」을 중심으로 -

원문정보

The Re-Establishment of the Relationship between Korean-Japanese Literature and the Literature of Japan : Focusing on 「Nomi(鑿)」 by Kim Hak-Young(金鶴泳)

이영호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With the advent of Kim Hak-Young’s writings in 1966, Korean-Japanese literature entered a period of transition. After the liberation of Korea, Korean-Japanese literature (which originated with the different liberation groups of Korea), took the first steps within the literature of Japan. In the 1970s, Korean-Japanese writers expressed their strong political colours by depicting political, ideological, and social issues in their works. Contrarily, Japanese writers focused on the depiction of the internal state of their characters, thus the literature of Japan entered an age of introversion. In this respect, Korean-Japanese writers were required to have a typicality that would be in contrast to that of most Japanese writers. Kim Hak-Young tended to show unique features by describing both the internal state of the characters and social issues, focusing on topics such as stuttering, ethnic issues and fatherly relationships. 「Nomi(鑿)」, published in 1976, showed the typicality of the literary world of Kim Hak-Young; this work deals with both the internal state of individuals as well as social issues, through the relationship between Kyoung-Soon and his father. It proves that these issues are interlinked with each other and that they are also present in causal relationships. His works encompass both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Japanese literature and that of Japanese literature, in turn overcoming the dichotomy between these two cultures. Furthermore, they created an opportunity to re-establish the relationship between Korean-Japanese literature and the literature of Japan. It verified a new possibility for Korean-Japanese literature of the 1970s.

한국어

1966년 김학영의 등장 이후 재일조선인 문학은 전환기를 맞이한다. 해방 이후 민족조직의 영역에서 수행되었던 재일조선인 문학은 일본이라는 새로운 생태계에서 문학활동을 시작했다. 1970년대 재일조선인 작가들은 작품에서 정치・사상・사회문제를 전면화하며 강한 정치색을 드러냈다. 반면 일본인 작가들은 내면묘사에 치중했으며 이후 일본문단은 내향의 시대를 맞이한다. 이 과정에서 재일조선인 문학은 일본문학과 대비되는 ‘전형성’을 요구받는다. 김학영은 말더듬이, 아버지, 민족문제를 소재로 내향성과 사회문제를 동시에 그려내며 동시대 재일조선인 작가들과 차별된 모습을 보인다. 1976년 발표된 「끌」에서는 김학영 문학의 전형성이 드러난다. 「끌」에서는 아버지의 폭력, 말더듬이, 재일조선인 차별문제를 종합적으로 다룬다. 주인공 경순과 아버지의 관계를 통해 개인의 내면성, 사회문제를 다루었으며 이들 문제가 순환되는 인과관계로 엮여있음을 증명했다. 김학영의 문학은 재일조선인 문학, 일본문학의 특징을 모두 포함했으며 이를 통해 재일조선인 문학 / 일본문학의 이분법적 구도를 극복할 수 있다. 더 나아가 1970년대 일본문학계와 재일조선인 문학의 새로운 관계성을 구축할 수 있으며 재일조선인 문학의 새로운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다.

목차

Abstract
1. 서론
2. 「끌(鑿)」을 통해 극복되는 김학영 문학의 전형성
2.1. 전후 재일조선인 문학의 전개양상과 일본문단
2.2. 아버지의 폭력과 확산되는 공포
2.3. 차별과 재생산되는 마이너리티
3. 김학영 문학을 통한 1970년대 일본문단의 재해석
3.1. 김학영 문학과 동시대 재일조선인 문학과의 차이
3.2. <아쿠타가와상(芥川賞)> 심사평과 요구되는 전형성
3.3. 재일조선인 문학과 일본문학과의 새로운 관계성
4. 결론
<참고문헌>
<국문요지>

저자정보

  • 이영호 Lee Youngho. 동국대학교 일본학연구소 전문연구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5,8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