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考古學으로 본 非火加耶史

원문정보

History of Bihwa Gaya Seen from Archeology

고고학으로 본 비화가야사

박천수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Ancient Tombs in Gyodong, Changnyeong region are composed of over 100 tombs around the foothills of the Hwawang Mountain, providing spectacular views. Gyodong Ancient Tombs are a large group of ancient tombs, equal to Jisandong Ancient Tombs from Dae-Gaya and Malisan Ancient Tombs from Ara-Gaya,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ir polity have been discussed. The mainstream view so far has been that this area was subjugated to Shilla between the late 4th century and the early 5th century, but some viewed that the area belonged to Gaya until the 5th and 6th centuries. This study aimed to discuss Bihwa-Gaya that was based near Changnyeong from the perspective of the political structure of Gaya since the Year of Gyeongja (AD 400) recorded in the Gwanggaeto Stele in the early 5th century. That is, as Geumgwan-Gaya started to decline around this time and Ara-Gaya also temporarily declined, Bihwa-Gaya started to rise along with So-Gaya. First, this study identified that the pottery from Changnyeong in the 5th century had the style of Gaya, and examined its historical implications. In addition, the pottery produced in Changnyeong had been continuously imported to So-Gaya, Geumgwan-Gaya, the Dara Kingdom and Dae-Gaya, and the relations between Bihwa-Gaya and these countries were reviewed to discuss the political attribution and the development driver of Bihwa-Gaya. This study also examined the historical background of relocating the center of Bihwa-Gaya from the Gyeseong district in the southern region to the Gyodo district in the northern region, and the political trends of Gaya and Shilla surrounding Bihwa-Gaya. The influence of Shilla was observed in the style of the pottery excavated in areas including Daegu, Gyeongsan, Ulsan, Yangsan, and Busan in the early 5th century, but the Changnyeong-style pottery during the period was not at all similar to the Shilla-style pottery. It was also found that its unique style was well maintained even in the mid 5th century when Shilla started to influence the area. Changnyeong was not subjugated to Shilla in the 5th century, which can be attributed to the topography of the area, and particularly high and rugged mountains in its bordering area with Shilla. In addition, its border was open to Gaya along the Nakdong River, which seemed to be also related. Due to these natural conditions, Shilla seemed to expand its territory into Changnyeong relatively late compared to other regions along the Nakdong River. The pottery produced in Changnyeong was distributed across other areas including Hapcheon, Uiryeong, Gimhae, Changwon, and Tongyeong. This indicates that Bihwa-Gaya engaged in transit trade between Shilla and other countries including the Dara Kingdom on the other side of the Nakdong River, Geumgwan-Gaya in the downstream of the river, and So-Gaya in the southern coast, trading materials such as iron. The pottery produced in Gaya in the early 5th century was found in So-Gaya and Bihwa-Gaya only, which indicates that Bihwa-Gaya was one of the leading powers among Gaya city-states during this period. The center of Bihwa-Gaya was relocated from the Gyeseong district in the southern region to the Gyodo district in the northern region in the mid 5th century. This can be attributed to the decline of So-Gaya and the Dara Kingdom, the rise of Dae-Gaya as well as the influence of Shilla. In the late 5th century, the style of the pottery in Changnyeong became extinct, and the pottery that used to be imported to different areas was no longer taken out. Its relation with the Dara Kingdom in Hapcheon, one of the major negotiating countries on the other side of the Nakdong River, was severed. This shows that Shilla did not influence Bihwa-Gaya until this period. Bihwa-Gaya in Changnyeong was situated on the east side of the Nakdong River bordering with Dae-Gaya, the Dara Kingdom and Ara-Gaya, and its pottery style compromised the style of Shilla and Gaya. In addition, the accessories and swords of Shilla and Gaya were used in Bihwa-Gaya. Considering these findings, it can be said that Bihwa-Gaya played a role as a buffer zone between Shilla and Gaya.

한국어

창녕지역의 교동고분군은 화왕산 산록의 100여 기를 넘는 고총으로 구성되어 일대 장관을 이루고 있다. 교동고분군은 대가야의 지산동고분군, 아라가야의 말이산고분군에 필적하는 대 고분군으로 이에 주목하여 창녕지역 정치체의 성격에 대한 논의가 이루어졌다. 그간 이 지역은 4세기 말 또는 5세기 전엽에 신라에 복속되었다는 견해가 주류를 형성하여 왔다. 한편 5~6세기에도 이 지역이 가야에 속하는 것으로 주장하는 견해가 존재한다. 본고에서는 5세기 초 광개토왕비의 경자년(400년) 이후 가야지역의 정치적 구도를 생각하면서 창녕지역에 존재하였던 비화가야에 대해 논하고자 하였다. 즉 이 시기를 기점으로 금관가야가 쇠퇴하며 아라가야도 일시적으로 쇠퇴하는 가운데, 소가야와 함께 비화가야가 대두하기 때문이다. 먼저 5세기 전반 창녕양식토기가 가야양식임을 밝히고 그 역사적 의미에 대하여 접근하였다. 그리고 창녕지역산 토기가 지속적으로 이입된 소가야, 금관가야, 다라국, 대가야와의 관계의 검토하면서 비화가야의 정치적 귀속성과 발전 동인에 대하여 논하였다. 나아가 비화가야의 중심지가 남부의 계성지구에서 북부의 교동지구로 옮겨가는 역사적 배경과 비화가야를 둘러싼 가야, 신라의 정치적 동향에 대해서도 접근하였다. 5세기 전엽 대구, 경산, 울산, 양산, 부산지역에서는 토기양식에서 신라의 영향력이 관찰되지만, 이 시기 창녕양식 토기는 신라양식 토기와 전혀 다른 토기양식이며 신라의 영향력이 미치기 시작하는 5세기 중엽에도 독자적인 양식을 강하게 유지하고 있었음을 밝혔다. 창녕지역이 5세기에 신라에 복속되지 않은 것은 이 지역의 지형이 신라와는 높고 험준한 산지를 경계로 하고 있으나, 가야와는 낙동강을 마주 보고 열려 있는 점과 관련 있다고 보았다. 이러한 자연적인 조건 때문에 창녕지역에 대한 신라의 진출이 다른 낙동강 이동 지역에 비해 늦었다고 할 수 있다. 비화가야는 창녕지역에서 생산된 토기가 합천, 의령, 김해, 창원, 통영지역에 분포하고 있는 것에서 신라와 낙동강 대안의 다라국, 낙동강하류역의 금관가야, 남해안의 소가야를 연결하는 철 소재를 비롯한 중계 교역을 담당한 것으로 보았다. 5세기 전반 가야지역 토기의 광역 분포권역은 소가야, 비화가야에서만 확인되는 것에서 이 시기 비화가야를 가야의 유력국으로 보았다. 5세기 중엽 비화가야의 중심지가 남부의 계성지구에서 북부의 교동지구로 이동하는 것에 대하여, 소가야, 다라국의 약화와 대가야의 흥기가 그 배경에 있으며 그 배후에는 신라의 영향력도 있었을 것으로 보았다. 5세기 후엽 창녕지역 토기양식이 소멸되고 각지에 이입되던 이 지역 토기가 반출되지 않은 점, 낙동강 대안의 주요 교섭세력인 합천 다라국과의 관계가 단절되는 점으로 볼 때, 이 시기가 되어서야 신라가 비화가야에 영향력을 미친 것으로 생각하였다. 그래서 5세기 창녕지역의 비화가야는 대가야, 다라, 아라가야에 면한 낙동강 동안의 위치, 신라와 가야양식을 절충한 토기양식, 신라와 가야의 장신구와 장식대도가 사용된 점 등으로 볼 때 신라와 가야 사이의 일종의 완충지대 역할을 한 국이었다고 생각한다.

목차

국문요약
I. 연구사의 검토와 본고의 목적
II. 편년
III. 역사지리적 환경
IV. 비화가야의 대외교류와 발전배경
V. 비화가야의 구조와 변천
VI.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박천수 Park, Chun Soo. 경북대학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