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주암호 유역에 설치된 수질개선시설의 기여율 평가
초록
영어
In this study, Generation load and the discharge load of pollutant in the Juam Lake watershed were calculated. Also the treatment efficiencies and contribution rates of water quality improvement facilities installed and operated in Juam Lake watershed were investigated. The pollutant discharge loads were estimated as BOD 4,754.2 kg/day, TN 3,532.4 kg/ day, TP 304.6 kg/day, respectively, and the pollutant discharged from the land accounted for the largest amount. Most of the point pollution sources in the Juam Lake watershed were originated from the non-treated domestic wastewater and the non-point discharge load was due to the livestock system and the land-based pollution sources. The water quality improvement contribution rate of 49 public sewage (point pollutant) treatment facilities was BOD 55.0%, T-N 39.8% and T-P 43.7%, respectively. Among the point discharge load, the public sewage treatment facilities comprise 2.2% of BOD, 14.7% of T-N and 8.7% of T-P. On the other hand, 12 artificial wetland facilities for non-point pollutant treatment were installed and operated in Juam Lake watershed. The average removal efficiency by the wetlands was BOD 27.5%, COD 16.3%, SS 81.8%, T-N 27.1%, and T-P 39.3% during rainfall duration, but it was very low, with BOD -0.1%, T-N 0.3%, and T-P 0.2% during normal (non-rainy) case.
한국어
주암호 유역의 오염원에 대한 발생부하량 및 배출부하량을 산정하고 주암호 유역에 설치·운영 중인 수질개선시설에 대 한 기여율을 평가하였다. 2017년 주암호 유역의 오염원 배출부하량은 BOD 4,754.2 kg/일, T-N 3,532.4 kg/일, T-P 304.6 kg/ 일 으로 산정되었으며, 오염원별로는 토지계가 가장 많은 양을 차지하였다. 주암호 유역의 점오염원은 대부분이 생활계 하 수미처리구역에서 발생하는 오염원이며, 대부분의 비점오염원 배출부하량은 축산계 및 토지계 오염원에 의한 것으로 나타 났다. 주암호 유역에 설치·운영 중인 공공하수처리시설은 49개소가 있으며, 이들의 수질개선 기여율은 BOD 55.0%, T-N 39.8%, T-P 43.7% 으로 산정되었으며, 점오염원 배출부하량 중에서 공공하수처리시설 방류부하량이 차지하는 비율은 BOD 2.2%, T-N 14.7%, T-P 8.7%으로 나타났다. 주암호 유역에는 총 12개소의 비점오염저감시설(인공습지)이 있으며, 강 우시 인공습지 평균 제거 효율은 BOD 27.5%, COD 16.3%, SS 81.8%, T-N 27.1%, T-P 39.3%로 나타났으나, 평상시(비강 우시) 설치·운영에 따른 수질개선 기여율은 BOD –0.1%, T-N 0.3%, T-P 0.2%로 매우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목차
요약문
I. 서론
II. 연구 대상 범위 및 방법
1.연구대상 범위
2. 연구 방법
III. 결과 및 고찰
1.오염원 현황, 발생 부하량 및 배출 부하량
2.수질개선시설 현황 및 처리효율
3.수질개선시설의 기여율
IV. 결론
Refer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