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융합 의과학

간호대학생의 간호사이미지와 전공만족도가 진로정체감에 미치는 융복합적 영향

원문정보

The Convergent effect of Nurses' Image and Major satisfaction on Career Identity of Nursing Students

조은주, 박정훈, 임경민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is a descriptive research designed to determine the effects of nurses' image and major satisfaction on nursing students’ career identity. For this purpose, the study made a questionnaire survey of 117 nursing students attending at K college located B city. Data collected from the survey were analyzed using SPSS 22.0 program. The finding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participant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nursing students’ career identity on grade and motivation of entrance. Second, there were correlations between nurses' image and nursing students’ career identity and also between their major satisfaction and career identity. Third, nursing students’ career identity was influenced by their relationship satisfaction between professors and students, which are sub-factors of major satisfaction, but nurses' image did not influenced their career identity. Therefore it is needed to provide nursing students with educational and interventive programs that help their better their relationship satisfaction between professors and students, continuous attention and guidance are necessary to facilitate communication and career guidance between professors and students.

한국어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들의 간호사이미지와 전공만족도가 진로정체감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는 B시 소재 K대학의 간호학과에 재학 중인 간호학생 117명의 설문을 수집하여 SPSS 22.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일반적 특성에 따른 진로정체감 정도의 차이는 학년과 학과선택 동기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둘째, 간호사이미지 및 전공만족도와 진로정체감의 상관관계는 모두 양의 상관관 계로 나타났다. 셋째 진로정체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전공만족도의 하위요인인 교수·학생간의 관계만족으로 나타났고, 간호사이미지는 진로정체감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따라서 간호대학생의 진로정체감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는 간호대학생들의 전공만족도의 하위요인인 교수·학생간의 관계만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중재방안이나 교육마련이 필 요하다고 사료되며, 교수·학생간의 원활한 의사소통 및 진로지도가 잘 이루어질 수 있도록 지속적인 관심과 지도가 필요 하다고 판단된다.

목차

요약
Abstract
1. 서론
1.1 연구의 필요성
1.2 연구의 목적
2. 연구방법
2.1 연구 설계
2.2 연구 대상 및 자료수집
2.3 연구 도구
2.4 자료 분석 방법
3. 연구결과
3.1 대상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3.2 대상자의 간호사이미지, 전공만족도 및 진로정체감 정도
3.3 대상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진로정체감정도의 차이
3.4 대상자의 간호사이미지, 전공만족도, 진로정체감의 관계
3.5 대상자의 진로정체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4. 논의
5. 결론 및 제언
REFERENCES

저자정보

  • 조은주 Eun-Joo Jo. 고신대학교 간호학과 교수
  • 박정훈 Jung-Hoon Park. 영산대학교 의료경영학과 교수
  • 임경민 Kyoung-Min Lim. 동주대학교 간호학과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