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도시재생사업활성화를 위한 주민대학 사례연구 : 강점모델을 기반으로 한 융합적 접근

원문정보

A Case Study on the Community School for Urban Regeneration : A Convergence Approach Based on the Strength Model

김남숙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ways to promote residents' participation as an important key for urban regeneration and enhancing urban competition.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The case of the design and operation of the community academy as part of the urban regeneration project (the New Ddeul Village Project) in the S district of Busan Metropolitan City was analyzed based on the strength model. Based on the job, this study presented some empirical discussions for a successful community engagement program. First, move away from the pathological model based on regional problems and approach it as a positive and potential-oriented strength model. Second, it is co-prosperity by utilizing the resources of local universities around the village. Third, to meet the diverse needs of local residents, they should seek regional support and exchanges through the convergence of college majors.

한국어

쇠퇴하고 노후되는 도시재개발 패러다임이 변화하고 있다. 글로컬 시대는 국가단위보다는 주민의 실질적 삶에 근거를 둔 지역, 즉 마을 중심의 도시재생에 무게를 둔다. 본 연구의 목적은 쇠퇴하는 도시의 재활성화와 도시경쟁력을 높이기 위한 핵심축으로써 주민참여 활성화 방안을 모색하는 것이다. 부산광역시 S구 일대를 대상지로 한 도시재생사업 (새뜰마을사업) 일환의 주민대학을 강점모델 기반으로 설계하고 운영한 사례를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성공적인 주민참 여프로그램을 위해 몇 가지 경험적 논의를 제시하였다. 첫째, 지역의 문제에 기반을 둔 병리적 모델에서 벗어나 지역과 주민이 지니고 있는 긍정적이고 가능성을 지향하는 강점모델로 접근한다. 이러한 접근은 주민들이 마을에 대한 자긍심 과 소속감을 갖고 강점을 활용함으로써 주민의 주체적 태도와 주민역량강화를 증진한다. 둘째, 마을 주변의 지역대학 자원을 활용한 지역과 대학의 상생이다. 셋째, 지역주민의 다각적인 욕구에 부응하기 위해서는 대학전공의 융합을 통한 지역 지원과 교류를 모색한다.

목차

요약
Abstract
1. 서론
2. 이론적 배경
2.1 도시재생사업의 변화와 대학의 참여
2.2 도시재생사업와 주민역량강화
2.3 도시재생사업과 강점모델
3. 연구방법
4. 연구결과
4.1 대상지역특성
4.2 주민대학운영
5. 결론
REFERENCES

저자정보

  • 김남숙 Nam-Sook Kim. 동명대학교 사회복지학과 부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