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호흡저항이 병행된 전신진동자극 훈련이 뇌졸중환자의 호흡기능 및 균형능력에 미치는 영향

원문정보

The Effects of Whole Body Vibration Stimulation Training Combined with Respiratory resistance on Respiratory and Balance Function in Stroke Patients

김병수, 박삼호, 박효정, 이명모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whole body vibration stimulation training combined with respiratory resistance on respiratory and balance function in stroke patients. 17 patients with chronic stroke were randomly assigned to the experimental group (n = 8) and the general vibration exercise program (n = 9). The intervention was conducted three times a week for 30 minutes once a week for 4 weeks. The respiratory function and balance ability were evaluated before and after the intervention to evaluate the degree of functional improvement. As a resul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p<.05) between the respiratory function and the balance ability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a significant difference(p<.05) in the respiratory function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The balance ability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the experimental groups. Through the results of this study, whole body vibration stimulation training combined with respiratory resistance may be useful as a program for improving respiratory function and balance ability of stroke patients.

한국어

본 연구는 호흡저항이 병행된 전신진동자극 훈련이 뇌졸중환자의 호흡기능 및 균형기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만성 뇌졸중환자 17명을 호흡저항이 병행된 전신진동자극 훈련을 적용한 실험군(n=8)과 일반 진동운 동프로그램을 적용한 대조군(n=9)으로 무작위 배정하였다. 중재는 30분간 1일 1회 주 3회, 4주간 실시하였다. 중재 전후 폐활량과 호흡근력 그리고 동적/정적 균형능력을 측정하여 비교하였다. 실험군에서 정․동적 균형능력, 폐활량과 호흡근력 의 전․후 비교 결과 유의한 향상을 보였다(p<.05). 그리고 실험군과 대조군을 비교하였을 때 동적 균형능력, 폐활량과 호흡 근력의 결과값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5).실험군의 폐활량과 호흡근력 또한 실험전후 유의한 향상을 보였으며, 대 조군에 비해 유의한 변화량의 차이를 나타내었다(p<.05). 본 연구결과를 통하여 호흡저항이 병행된 전신진동자극훈련은 뇌졸중환자의 호흡기능 및 균형능력 향상 프로그램으로 유익할 것으로 사료된다.

목차

요약
Abstract
1. 서론
2. 연구방법
2.1 연구대상자
2.2 연구절차
2.3 중재방법
2.4 평가도구
2.5 분석방법
3. 연구결과
3.1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3.2 균형능력 결과
3.3 호흡기능 측정 결과
4. 고찰
5. 결론
REFERENCES

저자정보

  • 김병수 Byeong-Soo Kim. 대전대학교 일반대학원 물리치료학과 학생
  • 박삼호 Sam-Ho Park. 대전대학교 일반대학원 물리치료학과 학생
  • 박효정 Hyo-Jung Park. 용인대학교 일반대학원 물리치료학과 학생
  • 이명모 Myung-Mo Lee. 대전대학교 물리치료학과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