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The Relationship among Smartphone Addiction, Lack of Sleep and Sleeping Hours of University Students
초록
영어
This study is a descriptive research on the relationship among smartphone addiction, lack of sleep and sleeping hours of undergraduates. The subjects include 280 students enrolled in G university and data were collected from Sep. 6 to Oct. 10, 2018. On average, each score of smartphone addiction, sleeping hours and lack of sleep was 34.79±7.6, 6.43±1.34 and 10.14±3.14 respectively. Smartphone addition had a significantly positive correlation with lack of sleep(r=.277, p<0.01) an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its sub-areas, such as disability in daily life(r=.269, p<0.01), virtual(r=.151, p<0.01), withdrawal(r=.303, p<0.01), tolerance(r=.184, p<0.01). The education and counselling for preventing undergraduates from smartphone addiction and further studies on them are required.
한국어
본 연구는 대학생들의 스마트폰 중독과 수면부족, 수면시간과의 관련성을 알아보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대상은 K시의 G대학에 재학 중인 280명으로 자료수집기간은 2018년 9월 6일- 10월 10일까지이며 자료 분석은 SPSS ver. 22.0을 이용하였다. 연구대상자는 남자생 64명(22.9%), 여자 216명(77.1%)이었고, 평균연령은 20.31±3.37세 이다. 스마트폰 중독 점수는 평균 34.79±7.6, 평균수면시간은 6.43±1.34시간, 수면부족 척도 평균은 10.14±3.14점이었 다. 스마트폰 중독은 수면부족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r=.277, p<0.01)가 있었으며, 하부영역인 일상생활 장 애영역(r=.269, p<0.01), 가상영역(r=.151, p<0.01), 금단영역(r=.303, p<0.01), 내성영역(r=.184, p<0.01)과 양의 상관관 계가 있었다. 대학생의 스마트폰 중독예방을 위한 다양한 교육 및 상담과 이와 관련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목차
Abstract
1. 서론
2. 연구방법
2.1 연구대상 및 자료수집
2.2 측정도구
2.3 자료분석방법
3. 연구결과
3.1 일반적 특성
3.2 스마트폰 사용 특성
3.3 스마트폰 중독과 수면시간 및 수면부족
3.4 대상자의 수면시간 및 수면부족 점수비교
3.5 스마트폰 중독과 수면시간 및 수면부족 점수의 상관관계
4. 논의 및 제언
REFER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