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Major Satisfaction, Occupation Value View and Career Decision-Marking Self-Efficacy of Beauty Majoring students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structural correlation between career decision making self-efficacy, major satisfaction and occupation value of beauty major students by questionnaire collection and statistical analysis. Major satisfaction was found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at the significance level of .05 with respect to coccupation value and career decision making self-efficacy at p<.001. Occupation value was found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at p<.001 for career decision and job decision of career decision making self-efficacy and significance level .05. Therefore, it has been confirmed that the major satisfaction and job value are the factors that play a significant role in the self-efficiency of career decisions, and it is believed that continuous research on various variables that affect the self-efficiency of career decisions of beauty major university students is necessary.
한국어
본 연구는 뷰티관련 학과에서 보다 질 높은 교육과정을 통해 산업 현장에서 요구되는 전문화되고 경쟁력 있는 인재를 양성하고 뷰티전공 학생들의 진로결정 자기효능감과 전공만족도 및 직업가치관과의 구조적인 상관관계를 설문수집 과 통계분석으로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서울과 경기도에 소재한 뷰티관련 대학의 뷰티전공 학생을 대상으로 일반 적인 특성, 직업가치관, 전공만족도, 진로결정 자기효능감과 구직결정 자기효능감에 관하여 설문조사하였다. 그 결과 전공 만족도는 직업가치관과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에 대하여 p<.001로 유의수준 .05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이 있는 것으 로 나타났다. 직업가치관은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의 진로결정과 구직결정에 대하여 p<.001로 유의수준 .05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직업가치관은 전공만족도와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중 진로결정에서 유의한 매개효 과를 확인하였다. 따라서 전공만족도와 직업가치관이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에 있어 구조적으로 유의미하게 작용하는 요인 임을 확인하였으며, 뷰티전공 대학생들의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에 영향을 주는 다양한 변수들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는 반드 시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목차
Abstract
1. 서론
2. 연구방법
2.1 연구대상 및 연구기간
2.2 연구내용 및 방법
2.3 통계분석
3. 연구 결과 및 고찰
3.1 연구대상자의 인구통계학적 특성
3.2 측정도구의 타당도 및 신뢰성 검증
3.3 상관관계 분석
3.4 연구가설 검증
3.5 전공만족도에 따른 직업가치관의 상관관계
3.6 전공만족도와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의 상관관계
3.7 직업가치관에 따른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의 차이
3.8 직업가치관이 전공만족도와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4. 결론
REFER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