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일반논문

문가학 이야기의 허구화 양상과 그 의미 - 가능세계 의미론을 중심으로 -

원문정보

The Pattern and Meaning of the Fictionalization of the Story of Mun Ga-hak - Focusing on Possible World Semantics -

서유석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pattern and meaning of the fictionalization of the story of Mun Ga-hak who was a real person described in the 『Annals of the Joseon Dyansty』, in the private-compiled geography 「Unchangji」, and in oral tales. Mun Ga-hak, as described in those records, is the same person, but its purpoted intention or meaning can be seen as totally different. For instance, Saetbyeol and Gaebapbaragi clearly refer to the same object Venus, but their meanings are totally different. In other words, Mun Ga-hak, as in the story of Mun Ga-hak described in the aforementioned different records, is the same indicator, but its meaning is different. Mun Ga-hak, described in the Annals, is just a bad traitor. Meantime, the fictionalized Mun Ga-hak in the handed-down oral tales offers a different meaning, because, although he is not a positive figure, he has the wisdom to distinguish old foxes from humans and disrupts the world through his Taoist magic but he represents the isolated local people who resist the central politics. In other words, the actual world of the story of Mun Ga-hak changes into the fictionalized diverse possible worlds. In this fictionalization process, the subject of transmission of the story of Mun Ga-hak create a new Mun Ga-hak of different meaning and intention each. The entities who hand down and enjoy oral tales appear to enjoy stories related to the actual world, but their indicators are the same yet the meaning thereof is not the same. The same is true for the characterized text. The constructive text, which does not imitate the actual world, create a possible world different from the actual world in which a fictional world is recreated. Such a fictional world is led to be continuously recreated and to reflect new perspectives of the enjoyers thereof.

한국어

본고는 『조선왕조실록』과 개인 편찬 지리지인 「운창지」, 그리고 구비설화에서 전승되는 실존 인물이었던 문가학 관련 기록과 이를 바탕으로 한 문가학 이야기의 허구화 양상과 그 의미를 살펴보는 데 연구의 목적을 둔다. 실록 기록에서 지칭하 고 있는 ‘문가학’과 「운창지」에 등장하는 ‘문가학’ 그리고, 구비설화에 등장하는 ‘문 가학’은 같은 대상이지만, 그 뜻 혹은 의미는 전혀 다른 것으로 볼 수 있다. 예를 들어 샛별과 개밥바라기는 분명 금성이라는 동일한 지시체를 가리키고 있지만, 그 뜻은 전혀 다르다고 볼 수 있는 것과 같은 양상이라고 파악하기 때문이다. 다시 말 해서 역사기록인 조선왕조실록이 의미하는 ‘문가학’과 민간에서 전승되는 ‘문가학 이야기’의 문가학은 분명 동일한 지시체이지만, 그 의미는 전혀 다르다. 실록 기록 의 문가학은 역사 기록 그 자체로, 성품이 좋지 않은 역적일 뿐이다. 하지만 설화 의 전승 주체들에 의해 허구화된 문가학은 색다른 의미를 지닌다. 그는 분명 긍정적인 형상의 인물은 아니지만, 오래 묵은 여우를 구별해 낼 수 있는 지혜를 가지고 있고, 도술을 통해 세상을 혼란스럽게 하지만, 더 나아가 중앙 정치에 대항하는 소 외된 지역민들의 진실을 보이고 있기 때문이다. 즉 문가학이라는 ‘실체’가 보여준 ‘실제세계(Actual World)’는 이야기가 변천 되면서 다양한 ‘가능세계(Possible World)’의 모습으로 허구화된다고 볼 수 있다. 그리고 이 허구화 과정에서 문가학 이야기를 향유한 하위주체들은 각각의 ‘뜻’ 혹은 ‘의미’를 가진 새로운 문가학을 만 들어내고 있다고 볼 수 있다. 구비설화를 향유하는 전승주체는 실제세계와 관련된 이야기를 향유하는 것처럼 보이지만, 실제로 그 지시체가 동일하다고 해서 그 지 시체가 구성하는 의미는 동일하지 않다. 이는 문자화된 텍스트에서도 마찬가지다. 실제세계를 모방하지 않는 구성적 텍스트는 실제세계와 다른 가능세계를 만들고 그 안에서 허구화된 세계(Fictional World)를 재창조한다. 그리고 이렇게 실제와 관련 없는 허구로 구성된 세계는 끊임없는 재창조와 이를 향유하는 향유자들의 새 로운 시각을 반영할 수 있도록 유도한다.

목차

국문초록
I. 머리말
II. 역사적 사실로서의 문가학
III. 私撰 地理志에서의 문가학 이야기
VI. 구비설화에서의 문가학, 문가학이 의미하는 것
참고문헌

저자정보

  • 서유석 Seo, You-seok. 경상대학교 국어국문학과 부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9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