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속격에서 주격으로

원문정보

From genitive to nominative

박진호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Japanese and Korean are untypical in that the nominative case is not zero in spite that their case alignments are of nominative-accusative type. It is well-known that the nominative marker in Japanese arose from the former genitive marker. The same scenario can be applied to Korean also. We can see a few examples in which '-i' is used as a genitive marker in Middle Korean. This suggests the possibility that '-i' which was originally a gentivie marker, was reanalysed as a nominative marker through the brige context of gentivie subject constructions. In ancient Korean, the verbal noun endings were used as the marker of adnominal and nominal clauses as well as subordinate and even main clauses, and in these constructions, which were in essence nominalized clauses, the subject could be marked with a genitive case. I suspect that this genitive was reanalysed as nominative.

한국어

일본어와 한국어는 주격-대격 정렬을 보이면서도 주격이 유표지인 특이한 모습을 보인다. 일본어의 경우 본래 속격이었던 '-ga'가 주격으로 재분석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와 비슷한 추론을 한국어에 대해서도 할 수 있다. '-이'가 속격으로 사용된 예가 소수이지만 발견되는데, '-이'가 본래 속격이었다가 주어적 속격 구문을 교량문맥으로 하여 주격으로 재분석되었을 가능성이 있다. 신라어, 고려어에서 동명사 어미로 끝나는 절이 관형절, 명사절뿐 아니라 주절, 접속절에도 폭넓게 사용되었으므 로, 주어적 속격이 광범위하게 사용되었을 가능성이 높고, 이것이 주격으로 재분석되 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목차

초록
1. 격 정렬(case alignment)
1.1. 격 체계 내의 무표항
1.2. ‘Marked Nominative System’
2. 일본어 주격 표지의 기원
2.1. 재분석 이전의 체계
2.2. ‘-が(ga)’의 재분석
2.3. 재분석의 교량 문맥: 명사화된 절(nominalized clause)의 속격 주어
3. 한국어 주격 표지 ‘-이’의 기원
3.1. 재분석 이전의 주격, 대격 체계
3.2. 속격 표지의 체계
3.3. 속격 표지 ‘-이’와 그 재분석
3.4. 재분석의 교량 문맥
4. 맺는 말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박진호 Jinho Park. 서울대학교 국어국문학과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5,1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