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1920/30년대 신문평론 잡지의 발행 배경과 지향점에 대한 고찰

원문정보

A Study on the Publishing Background and Orientation of the Newspaper Review Magazine in 1920s and 1930s

김은규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In 1920s and 1930s,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Newspaper review magazines have appeared in Korea one after another, such as SinmunYeongu, meaning newspaper studies, SinmunChunchu, meaning newspaper years and months, CheolPil, meaningstencil pen, HoOe, meaning extra of a newspaper, Jjeonalism, meaning journalism. The fact that newspaper review magazines were published during 1920s and 1930s has an important meaning in modern media research. The publication of newspaper review magazines is based on the efforts of journalists who wanted to seek systematic knowledge and expertise in newspapers. At that time, Journalist society, one of the modern intellectual groups, have a hang up about solving the national tasks of colonial Joseon. However, as the press repression of the Japanese imperialism became worse, social activities were shrinking, but on the other hand, Journalist society tried to secure professional identity as a journalist. And, the journalist society attempted to establish theoretical establishment and public delivery of newspapers and journalism through the publication of newspaper review magazines. Newspaper review magazines that appeared in this background show different orientations according to their purpose and contents. In terms of contents, it is divided into two types: the self-promotion of providing knowledge about newspapers and the hobby poison oriented for the general public. SinmunYeongu, CheolPil, Jjeonalism is connected in that it provides knowledge of newspapers. However, SinmunYeongu and Cheol-Pil aimed at the journalist society itself, while Jjeonalism shows differentiation in that it was targeted at the general public. And, SinmunChunchu and HoOe have common features in that they show the character of hobby- reading magazines that provide interesting readings to the general public based on the trends of the newspaper industry. As such, newspaper review magazines have differentiating purposes and contents of publication, but they were another meaningful media phenomenon in that they contained the situation of the newspaper industry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한국어

일제강점기인 1920/30년대에 <신문연구>, <신문춘추>, <철필>, <호외>, <쩌날 리즘>이라는 신문평론 잡지들이 잇달아 출현한 바 있다. 각 매체별로는 단발마적 으로 끊기기는 했지만, 신문평론 전문 잡지들이 잇달아 발행되었다는 사실은 근대 언론사 연구에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신문평론 잡지들의 발행은 신문에 대한 체 계적 지식과 전문성을 모색하고자 했던 기자 사회의 노력을 배경으로 하고 있다. 근대적 지식인 집단의 하나인 당시 기자 사회는 초기에는 식민지 조선의 민족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고민했다. 하지만 일제의 언론탄압이 심해지면서 사회적 활 동이 위축되는 아쉬움을 보였지만, 한편으로 신문인으로서 직업적 정체성을 확보 하고자 노력했고 신문평론 잡지 발간을 통해 신문과 저널리즘에 대한 이론적 정립 과 이의 대중적 전달을 시도했다. 이러한 배경에서 출현한 신문평론 잡지들은 그 목적과 내용에 따라 서로 상이한 지향점을 보이며 흐름을 잇고 있다. 내용적으로 보면 신문에 대한 지식 제공 중심과 일반 대중을 위한 취미독물 중심이라는 두 가 지 유형으로 나뉘어 진다. <신문연구>, <철필>, <쩌날리즘>은 신문에 대한 지식을 제공하고 있다는 점에서 연결된다. 그러면서도 <신문연구>와 <철필>이 기자 사회 스스로를 대상으로 한 것이었던 것에 비해, <쩌날리즘>은 일반 대중으로 대상으로 했다는 점에서 차별성을 보여준다. 그리고 <신문춘추>와 <호외>는 신문계의 동향 을 토대로 하여 일반 대중들에게 흥미로운 읽을거리를 제공하는 취미독물 잡지의 성격을 보여준다는 점에서 공통점이 있다. 이처럼 신문평론 잡지들은 발행 목적과 내용상 서로 차별성을 가지고 있기는 하지만, 일제강점기 신문계의 상황을 담고 있 다는 점에서 또 다른 의미 있는 언론현상이었다.

목차

요약
1. 머리말
2. 신문평론 잡지 출현의 시대적 배경
1) 일제강점기 조선 신문계의 흐름
2) 기자 사회의 형성과 단체 활동 : 무명회와 철필구락부
3) 1920/30년대 잡지 발행 현황과 신문평론
3. 기자 사회의 후원과 신문평론 잡지 ; <신문연구>, <신문춘추>, <철필>
4. 1930년대 중반의 <호외>와 <쩌날리즘>
5. 맺음말
참고문헌

저자정보

  • 김은규 Eungyoo Kim. 우석대학교 미디어영상학과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9,9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