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A study on the relationship among attachment to child, gender equality awareness, social support, resilience of fathers in single father family
초록
영어
This study was aime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among attachment to child, gender equality awareness, social support, resilience of fathers in single father family and to get the ideas of social welfare’s service for them. The subjects of this study consisted of 97 fathers in single father family taking services at social welfare facilities of Gangwon-do province. The data were collected through self-reported questionnaires from Oct. to Nov. in 2016 and were analyzed by Spss 18 program. The study resulted that first, the relationship among attachment to child, gender equality awareness, social support, resilience of fathers in single father family were correlated, second, gender equality awareness was the highest explanation for the resilience of fathers in single father family, third, religion, attachment to child, social support showed significantly for the resilience of fathers in single father family.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proposed practical direction for program, social worker’role, strengthening access due to formation of social network and so on.
한국어
본 연구는 부자가족 아버지의 자녀애착, 양성평등의식, 사회적 지지와 회복탄력성과의 관계를 탐색해보고 사회복지서비스 제공을 위한 자료를 얻고자 실시되었다. 자료조사는 강원도지역을 중심으로 사회복지서비스를 받고 있는 부자가족 아버지를 대상으로 2016년 10월에서 11월에 자기보고식 설문지를 사용하여 실시하였다. 수거된 설문지는 105부였으나 불명확한 설문지를 제외한 최종 97부를 SPSS 18의 통계프로그램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부자가족 아버지의 회복탄력성과 자녀애착, 양성평등의식, 사회적 지지는 상호관련성이 있었다. 또한 회복탄력성에 양성평등의식이 가장 높은 설명력을 보였고, 자녀애착, 사회적지지, 종교도 영향력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부자가족 아버지에 대한 프로그램의 방향, 사회복지사의 역할, 사회적 네트워크에 기반한 접근성 강화 등을 제안하였다.
목차
I. 서론
II. 이론적 배경
1. 부자가족 정의와 특성
2. 회복탄력성
3. 자녀애착, 양성평등, 사회적 지지와 회복탄력성
III. 연구방법
1. 연구대상 및 분석방법
2. 측정도구
IV. 연구결과
1. 연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2. 부자가족 아버지의 자녀애착, 사회적 지지, 양성평등의식과 회복탄력성과의 관계
V. 논의
참고문헌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