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재가요양보호사의 사회적 지지가 심리적복지감에 미치는 영향 : 직무만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원문정보

The Effects of Social Support on the psychological Well-being of In-Home Care Workers : With a focus on the mediating effects of job satisfaction

이성민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measure the mediating effects of job satisfaction on the influence of social support on psychological well-being among home care workers. For this purpose, the investigator conducted a survey with 200 home care workers currently working at home welfare facilities for the elderly in Jeollanam Province on November 19∼December 13, 2018 and used total 165 questionnaires in final analysis. The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the higher social support was, the higher psychological wellbeing came; second, higher social support led to higher job satisfaction, which resulted in greater psychological wellbeing; and finally, job satisfaction had partial mediating effects between social support and psychological well-being. Based on these findings, the study proposed practical and policy plans to increase social support and job satisfaction and thus enhance the psychological wellbeing of home care workers.

한국어

본 연구는 재가요양보호사의 사회적 지지가 심리적복지감에 미치는 영향에서 직무만족의 매개효과를 측정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전라남도에 소재한 재가노인복지시설에 현재 근무하고 있는 재가요양보호사 200명을 대상으로 2018년 11월 19일부터 12월 13일까지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총 165부가 최종분석에 사용되었다. 연구결과 첫째, 사회적 지지가 높아질수록 심리적복지감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사회적 지지가 증가할수록 직무만족이 증가하며, 직무만족이 증가할수록 심리적복지감도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사회적 지지와 심리적복지감 사이에서 직무만족은 부분매개 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측정되었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재가요양보호사의 심리적복지감을 높이기 위해 사회적 지지와 직무만족도를 증가시킬 수 있는 실천적, 정책적 방안을 제시하였다.

목차

요약
I. 서론
II. 이론적 배경
1. 재가요양보호사의 심리적복지감
2. 사회적 지지, 심리적복지감, 직무만족 간의 관계
III. 연구방법
1. 연구모형
2. 자료수집
3. 조사도구
4. 자료분석 방법
IV. 연구결과
1.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2. 주요변인의 기술통계
3. 주요변인 간 상관관계
4. 연구모델 검증
V.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이성민 Seong-min Lee. 목포대학교 대학원 자치ㆍ복지행정학 협동과정ㆍ행복재가노인복지센터장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1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