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보이스피싱 행위에 관여한 계좌명의인이 피해금을 인출한 행위에 대한 처벌 가능성

원문정보

The Possibility of The Punishment to The Action That The Account Title Holder Who Was Involved in The Voice Phishing Withdrew The Victim’s Money in The Account

류석준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majority opinion of the decision is that the bank name in voice phishing withdraws money from the account as an act of embezzlement against the fraudulent victim. But considering that embezzlement is an infringement of ownership crime, the act of withdrawing the money already lost by voice phishing cannot be judged as embezzlement against fraudulent victims. Nevertheless, for the majority opinion to be maintained, another new damage must be acknowledged to fraudulent victims who have already lost ownership of the money. However, many opinions are not in this regard. However, the major opinions equate post-deposit withdrawals of account names with withdrawals in error transfer cases. In doing so, the major opinions impose the same special obligation on the person in the account name of the subject matter, which is also unfairly recognized in the error transfer cases. However, in the case of a subject matter, the person in the account name has been involved in the fraud from the beginning, so there is much room to be understood as the case in which a causal relationship exists rather than the case in which there is no causal relationship. Therefore, there is no denying the possibility that account names, the actors in the subject matter, will be subject to special obligations, such as obligations as guarantors for the storage of money. In conclusion, however, it should be said that despite this possibility, there is no room for embezzlement charges against fraudulent victims. This is because the fraudulent victim's ownership of money that has already been forfeited by the act of disposal by the expectation cannot be recognized.

한국어

대상판결의 다수의견은 보이스피싱에서의 계좌명의인이 그 계좌의 돈을 인출한 행위를 사기피해자에 대한 횡령행위로 판단하고 있다. 그러나 횡령죄는 소유권 침해범죄라는 점을 고려할 때, 이미 보이스피싱에 의해 그 소유권이 상실된 돈을 계좌명의인이 인출하는 행위는 사기피해자에 대한 횡령죄로 평가될 수는 없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다수의견의 관점이 유지되기 위해서는 돈에 대한 소유권을 이미 상실한 사기피해자에게 또 다른 새로운 피해가 인정될 수 있어야 한다. 그러나 다수의견은 이에 관하여 밝히고 있지 않다. 다만 다수의견은 계좌명의인의 사후적 인출행위를 착오송금 판례에서의 인출행위와 동일시하고 있다. 이를 통하여 다수의견은 착오송금에서도 부당하게 인정되고 있는 특별한 의무를 대상사안의 계좌명의인에게도 동일하게 부과하고 있다. 그러나 대상사안의 경우에서는 계좌명의인이 처음부터 사기행위에 가담하고 있으므로 이것은 원인된 관계가 없는 경우라기보다는 오히려 어떤 원인된 관계가 존재하는 경우로 이해될 수 있는 여지가 다분하다. 따라서 대상사안의 행위자인 계좌명의인에게 돈의 보관에 대한 보증인 의무와 같은 특별한 의무가 부과될 가능성이 부정될 수는 없다. 그러나 결론적으로 이러한 가능성에도 불구하고 사기피해자에 대한 횡령죄가 성립될 여지는 없다고 해야 한다. 왜냐하면 기망에 의한 처분행위로 인하여 이미 소유권이 상실된 돈에 대한 사기피해자의 소유권이 인정될 수는 없기 때문이다.

목차

국문초록
Ⅰ. 문제의 제기
Ⅱ. 행위 대상에 대한 이중평가를 피하기 위한 피해사실규명 선행의 필요성
Ⅲ. 착오송금 판례 인용의 부적절성
Ⅳ. 사기피해금에 대한 보관자 지위 인정 가능성 여부
Ⅴ.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류석준 Ryu Seok Jun. 영산대학교 법학과 교수, 법학박사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