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일본인 ‘위안부’ 피해자의 말하기- 시로타 스즈코(城田すず子)의 텍스트를 통해 -

원문정보

Narrative of Japanese “comfort women” victims – Through the text of Suzuko Shirota –

강소영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In this paper, we examined how difficult it was for Japanese women in poor families to become independent in the system of sexual violence by the state, as they walked from “fall” to “reorganization.” Unlike the Japanese military-led “comfort women” mobilised by forced or cheated, the typical “comfort women” were sold to the demimonde by their father during World War II. However, Shirota’s record was a challenge to women’s repressive gender standards and asymmetric gender standards. In 1991, South Korea accused the “comfort women” problem as a national crime in Japan. In Japanese society before that, the “comfort women” problem belonged to personal misery and was not considered as a national crime. She witnessed the emergence of the “comfort women’s problem” in 1991. But she did not demand compensation and apology as victims of Japanese national crimes and did not make herself a mainstay. In fact, Shirota’s text may have been used in Japanese society to reproduce the stereotyped perception and discrimination of prostitutes.

한국어

피해자의 행위에 선택의 여지가 없었다고 생각될수록 피해를 말하는 정통성이 인정받기 쉬워진다. 그런 측면에서 일본군이 조직적으로 주도한 ‘위안부’ 동원의 강제성이나 속임수가 없는, 전전과 전중, 전후 매매춘의 맥락이 구별되지 않는 시로타의 텍스트는 ‘전형적인 피해자성’을 말하기에는 조금 한계를 가진다. 그러나 본고에서는 가난한 일본인 ‘위안부’ 여성의 삶이 국가 범죄 속에서 얼마나 주체화하기 어려웠는지 그녀의 개인적 기록을 통해 살펴보았다. 강제로 속아서 혹은 인신매매 당해 ‘위안부’로 끌려갔던 피차별 부락민 출신이나 가난한 어·산촌의 일본인 여성 등이 피해 경험에 침묵하는 것은 침묵시키는 국가 차원의 가부장적 젠더 규범에 있으며, 성폭력 행위는 피해자인 여성에게 그 원인도 결과도 귀책되는 비대칭성을 갖기 때문이다. 1991년 한국에서 ‘위안부’ 문제를 고발하기 전 일본 사회는 ‘위안부’ 문제는 개인적 불행에 속한 것이며 국가 범죄로 보지 않았다. 시로타의 글쓰기는 여성에 대해 억압적인 젠더 규범, 비대칭적인 성규범에 대한 도전이었지만, 그녀는 1991년 ‘위안부 문제’가 부상되는 것을 목격하면서도 국가 범죄의 ‘피해자’로서 보상과 사죄를 요구하거나 스스로를 주체화하는 일 없이 생을 마감했다. 사실 시로타의 텍스트는 일본 사회에서 공창=‘위안부’=매춘부라는 도식화된 편협한 인식과 차별을 심어주는데 이용당했을 가능성도 배제하기 어려운 측면이 있다.

일본어

本稿では、貧しい家の日本人女性が「転落」から「更生」への道を歩みながら、国家による性暴力のシステムのなかでいかに自ら主体化することが難しかったのか考察した。 日本の軍が組織的に主導した「慰安婦」動員の強制性やだまされてつれていかされた場合とは違い、経済的困窮のゆえ、父に花柳界へ身売りされ、戦中にはタイワン、南洋島などで「慰安婦」をさせられた城田すず子のテキストは、典型的な「慰安婦の被害者性」を語るには物足りない側面もある。 しかし、城田の記録は、女性に対して抑圧的なジェンダ規範、非対称的な性規範に対しての挑戦であった。 1991年、韓国で「慰安婦」問題を告発する以前の日本社会は、「慰安婦」問題は個人的不幸に属することであり、国家の犯罪としては見なされなかった。城田は、1991年「慰安婦問題」が浮上することを目撃しながらも日本の国家犯罪の「被害者」として補償と謝罪を要求したり、自らを主体化することなく生をとじた。実は、城田のテキストは日本社会で、公娼=「慰安婦」=売春婦という図式化した認識と差別を再生産させるのに利用された側面もあるのではなかろうか。

목차

<요지>
Ⅰ. 머리말
Ⅱ. 일본인 ‘위안부’ 연구의 최근 동향
Ⅲ. ‘피해자’ 시로타 텍스트의 유효성
Ⅳ. 가해국 여성 피해자의 ‘갱생’하기
Ⅴ. 맺음말
<참고문헌>
要旨
Abstract

저자정보

  • 강소영 Kang, So-young. 한국외국어대학교 일본언어문화학부 강사, 한일비교문학·비교문화 전공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3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