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자녀에 대한 ‘좋은 부모’인식의 유형화 : Q방법론을 활용하여

원문정보

The Typology of ‘Good Parenting’on the my Children : Using the Q methodology

이도희, 제혜금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began with the question of what the role of 'parents' in our daily lives is and what it is. For analysis, Q method, which is a qualitative research method, was used to diagnose and typify awareness. The analysis result was defined as recognition of four parent roles, and the result is as follows. emphasizes the statement of 'having emotional communication ability with children' and is named 'Emotional sympathy type'. is composed of statements related to child care, such as 'to control children', 'to inform parents of their children', and to negotiate with their children'. refers to the management of parents themselves, such as 'I should be happy', 'I can punish my child', 'I should be healthy', and the management as a healthy and strong parent. emphasizes sympathy with children such as 'to talk with their children', 'to tell others what to help', and 'to have time with their children', and it is named 'child sympathy type'. As i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 found that good parents are not parents who do something special. In other words, parents who think of themselves can be parents who can communicate with their children and communicate with their children. Therefore, we conducted this study for the time to think about the role and expectation of our children as parents and their parents as their own children.

한국어

본 연구는 우리 일상에서 ‘부모’로써의 역할이 과연 어떠한 것이며, 어떠한 존재 인지에 대한 의문에서 출발하였다. 분석을 위하여 질적연구방법인 Q방법을 활용하여 인식의 진단과 유형화를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4개의 부모역할에 대한 인식으로 유 형화되었으며, 그 결과 다음과 같다. <유형 Ⅰ>은 ‘자녀와의 정서적 교감능력 을 갖고 있는 것’의 진술문을 강조하고 있어, 「정서교감형」으로 명명하였다. <유 형 Ⅱ>는 ‘자녀를 컨트롤 할 수 있는 것’, ‘자녀에게 부모의 존재를 알리는 것’, 자녀와의 협상을 잘 하는 것‘ 등으 로 전반적인 자녀관리 관련 진술문으로 구 성되어 있어 「자녀관리형」으로 명명하였 다. <유형 Ⅲ>은 ‘내가 행복해야 하는 것’, ‘자녀를 혼낼 수 있는 것’, ‘건강 해야 하는 것’ 등 주로 부모 자신에 대한 관리와 건강하고 강한 부모로써의 관리를 나타내고 있어, 「부모관리형」으로 명명 하였다. <유형Ⅳ>는 ‘자녀와의 대화를 나누는 것’, ‘남을 도와야 하는 것을 알 려주는 것’, ‘자녀와의 시간을 갖는 것’ 등의 자녀와의 소통을 강조하고 있 어,「자녀소통형」으로 명명하였다. 연구결과, 좋은 부모는 자녀와 함께 하고, 자녀와 교감할 수 있는 그런 부모임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부모로써의 우리의 자 녀와 나 자신이 자녀의 부모로써의 역할과 기대에 대하여 생각해 볼 수 있다.

목차

《요약》
Ⅰ. 서론
Ⅱ. Q방법론의 이해와 선행연구 검토
1. 주관성연구, Q방법론의 이해
2. 선행연구 검토
Ⅲ. 연구모형 및 Q분석 과정
1. 연구모형
2. Q분석
3. 자료처리 및 분석
Ⅳ. 분석결과 및 논의
1. 분석결과
2. 논의
Ⅴ.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이도희 Lee, Doh-hee. 충남대학교
  • 제혜금 Zhu, Hui-qin. 전주대학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